초록 |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사회 공익제보자들의 스트레스 경험과 건강문제발생을 살펴보고 그 사회적 의미와 이들을 보호하기 위한 제도적 개선점 등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한국사회 유명 공익 제보자로서 시민단체 참여연대에 도움을 요청한 9분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이들과 그 주변 사람들의 심층 면접 등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단락을 나누어 해석적 요지를 부여하고 유사한 부분들을 모아 개념을 부여하고 상위개념을 형성시킨 후 전체적인 맥락에서 검토하였다. 이러한 내용들은 Scott 과 Howard의 수용적 스트레스 모형이론에 따라 배열되고 정리하였다. 참여자들은 조직 내 부정을 발견하면서부터, 그리고 익명으로 존재하던 시기부터 스트레스에 노출되었지만 이들의 주된 스트레스원은 이들의 결행에 대한 조직의 보복조치들이었는데 오명을 씌우거나 해고나 징계 등의 경제적 불이익, 사법조치, 협박과 테러 등의 직접적 조치와 따돌림, 블랙리스트 등 그들의 사회 연결망을 공격하는 것이었다. 일차적 스트레스원은 해고로 인한 생활리듬의 상실, 생애 단계의 기회상실, 역할감 상실 등과 같은 이차적 스트레스로 증폭되었으며 보복조치에 의하여 달라진 신분적 위상은 주변에 대한 통제감을 약하게 하는 결과가 되었다. 참여자들은 비축된 경제적 자원을 동원하고 주변의 지원과 지지를 구하면서 스트레스에 대응하려고 노력하였다. 하지만 보복조치 등의 스트레스원이 강하고 반복되고 이용가능한 자원이 부족한 경우, 그리고 자원의 소모적 조건이 열악한 경우에는 성공적인 스트레스의 극복이 되지못하고 희생되었다. 이들의 스트레스는 초기에 가역적이고 치료 가능한 소화기기 질환이나 신경증상으로 시작하여 점차 회복이 불가능한 만성질환이나 후유증을 남기는 심각한 질환 및 사고와 사망, 자살 등으로 이어졌다. 또한 사회적 건강문제로서 가족 등 주변사람들과의 긴밀한 관계가 파괴되고 위축되기도 하였으며 자신의 정체성이 추락되기도 하였으며 공동체에 대한 기대와 신뢰가 상실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희생의 결과에 있어서 가혹한 보복조치의 크기와 지속성 뿐 아니라 이용가능한 자원의 크기와 소모적 조건이 중요하였고 이들의 보호를 위한 제도적 개선점으로서 의미를 확인하게 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