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WU, Jian-sheng,QIAO, Na,PENG, Jian,HUANG, Xiu-lan,LIU, Jian-zheng,PAN, Ya-jing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3-01-01 |
초록 |
노천 광산지역(opencast mine area)을 연구대상으로 광산지역의 경관 생태 위험성을 평가하였으며, ESDA 기법을 이용하여 해당 광산지역 내 생태 위험성의 공간 변화 특성을 정량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광산지역 내 생태 위험성의 공간 분포는 위험성 수준이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점차 낮아지는 고리모양 특성을 나타냈다. 그 중, 위험성 수준이 높은 지역은 주로 광산업 생산 및 도시 생활 지역에 분포하였으며, 토지 파괴, 토지 점유 및 도시 건설은 주요한 위험성 출처였다. 위험성이 중간 수준인 지역은 주로 자연과 반자연 기능구에 분포하였으며, 도시 생활과 농업 생산력은 주요한 위험성 출처였다. 위험성 수준이 낮은 지역은 임지와 초지 등 지역에 분포하였으나, 대면적의 식생 퇴화와 수토 유실로 인하여 해당 지역의 생태 기초는 감소하고 환경은 취약성을 나타냈다. 또 빈번한 노천 광산작업으로 인하여 전체 생태 환경의 질은 낮아졌다. 동시에 다양한 기능구의 위험성의 서열(인공 지역 gt;반자연 지역 gt;자연 지역) 특성은 일반 지역 내 생태 위험성 수준의 차이성 법칙에 부합되었다. 이밖에 ESDA에 기반한 광산지역 내 경관 생태 위험성을 분석한 결과, 자기 상관성은 0.7521에 달하였고 위험성의 공간 접적 효과는 뚜렷하였다. 광산지역 내 경관 생태 위험성의 공간 변화 특성을 비교한 결과, 경관에 대한 외부 교란은 위험성 수준이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소였다. 경관 취약성은 위험성이 중간 수준인 지역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소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광산지역의 환경 관리와 위험성 의사결정에 일정한 데이터와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977500 |
첨부파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