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HU, Ning,JIANG, Xiao-dong,HU, Ji-chao,LU, Zong-zhi,YAO, Ke-min,PEI, Xin-wu |
초록 |
잠재적 화분원(potential pollen source) 강도는 옥수수 화분 확산 모델의 중요한 파라미터이다. 옥수수의 잠재적 화분원 강도를 확인하고자, 본 연구는 일일 화분 확산량과 시간당 개화율을 측정하여 시간당 화분 확산량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모델 내 잠재적 화분원 강도의 입력값으로 이용하였다. 2009년 리수이(Lishui)에서 진행된 시험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규 분포 함수(normal distribution function)를 응용하여 시간당 화분 확산량의 일변화를 시뮬레이션하고, 기온과 상대 습도 파라미터를 통하여 시간당 화분 확산량을 보정하였다. 2010년 궁주링(Gongzhuling)과 리수이에서 진행된 시험 데이터를 이용하여 옥수수 잠재적 화분원 강도의 정규 분포 모델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궁주링 시험과정의 '쯔눠18(Zinuo-18)', '지단35(Jidan-35)'과 리수이 시험과정의 '쯔눠18', '쑤608(Su-608)'의 시간당 화분 확산량의 시뮬레이션값과 실측값 사이의 평균 제곱근 오차(root mean squared errors, RMSE)는 각각 2.24×10 5 , 1.52×10 5 , 1.24×10 5 , 8.92×10 4 알·그루 -1 , 결정계수(상관계수)는 각각 0.330, 0.545, 0.365, 0.606였다. 같은 데이터로 기온과 상대 습도를 검증하여 모델을 보정한 후, 각 품종의 시간당 화분 확산량의 시뮬레이션값과 실측값 사이의 평균 제곱근 오차는 각각 1.25×10 5 , 9.03×10 4 , 5.14×10 4 , 4.22×10 4 알·그루 -1 까지 감소하였으며, 결정계수는 각각 0.656, 0.718, 0.779, 0.843까지 증가하였다. 모델의 효과는 뚜렷하게 개선되었는데, 이는 옥수수의 화분 확산을 정확하게 시뮬레이션하는데 기반을 제공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