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목적:세포외기질의 항상성 유지는 MMP (matrix metalloproteinasese)와 TIMP (tissue inhibitors of metalloproteinases)로 알려진 단백질분해 효소 시스템의 작용에 의하여 주로 조절된다. MMP와 TIMP 시스템은 결합조직 재구성 부위와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세포외기질의 분해 및 합성을 조절한다. 병적인 상태에서 MMP와 TIMP 시스템은 기저막과 세포외기질 분해 기전에 주요 역할을 함으로써 종양의 증식, 침습, 전이에 참여한다. 이 논문의 목적은 자궁내막암에서 MMP와 TIMP의 발현 그리고 이들과 임상병리학적 예후인자들과의 상관관계 및 생존율과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이들 발현이 어떠한 예후적 의의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 방법:55명의 자궁내막암 환자를 대상으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통한 MMP-2, MMP-9, TIMP-1, TIMP-2의 발현을 조사한 뒤, 이들과 자궁내막암의 임상병리학적 예후인자들과의 상관관계 및 생존율과의 관계를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자궁내막암 환자의 MMP-2,-9, TIMP-1,-2 발현율은 각각 71.7%, 54.9%, 41.2%, 76.5%이었다. MMP-2,-9, TIMP-1,-2 발현과 개별적인 임상병리학적 예후인자들과의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림프절 전이 양성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MMP-2 발현 증가를 나타내었고(p=0.04), 복강세포진 양성군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MMP-2 발현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p=0.07). 그리고 특히 림프절 전이 양성군에서는 MMP-2와 TIMP-2 동시 발현하는 성향이 매우 의미있게 높았으며(p lt;0.01), 복강 세포진 양성군에서도 MMP-2와 TIMP-2 동시 발현하는 성향이 매우 의미있게 높았다(p=0.03). 자궁내막암 환자 55명의 전체 5년 생존율은 88.8%이었으며, MMP-2,-9, TIMP-1,-2 발현 여부에 따른 생존율 분석상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 결론:이번 연구에서는 MMP와 TIMP의 발현이 전체 5년 생존율과 직접 연관성은 없었지만, 림프절 전이 양성군과 복강세포진 양성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MMP-2 및 TIMP-2가 동시 발현되는 상관 관련성이 있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