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목적: 24시간 주기 리듬(circadian rhythm)이 쥐 국소 뇌허혈 재관류 손상(local cerebral ischemia-reperfusion injury)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한다. 기법: 쥐를 인공 광원 환경(밝은 환경: 6:00-18:00와 어두운 환경: 18:00-6:00)에 노출시켜 4주 동안 적응 사육한다. 그 다음 쥐를 6:00 그룹, 12:00 그룹, 18:00 그룹, 24:00 그룹으로 임의로 나눈다. 그리고 상응하는 시각에 중대뇌 동맥 폐색법(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을 적용하여 국소 뇌허혈 재관류 손상 쥐 모델을 구축한다. 재관류 24시간 후, 24시간 주기 리듬이 모델 쥐의 신경 손상 증상, 뇌경색 범위, 뇌조직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SOD) 활성 및 MDA 함량, 뇌세포 내 유리 Ca 2+ 농도, 혈청 내 엔도텔린(ET) 및 혈관내피세포 성장인자(VEGF), 뇌조직의 병리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한다. 결과: 각 그룹 쥐에 뚜렷한 신경 손상 증상이 나타났는데 이 가운데 24:00 그룹 쥐의 신경 손상 증상은 6:00 그룹에 비해 뚜렷하게 경미하였다. 6:00 그룹과 12:00 그룹 쥐의 뇌경색 범위는 18:00 그룹과 24:00 그룹에 비해 뚜렷하게 넓었다. 18:00 그룹과 24:00 그룹 쥐의 SOD 활성은 6:00 그룹과 12:00 그룹에 비해 뚜렷하게 높았고 MDA 함량은 6:00 그룹에 비해 뚜렷하게 낮았다. 24:00 그룹 쥐 뇌세포 내 유리 Ca 2+ 농도는 6:00 그룹과 12:00 그룹에 비해 뚜렷하게 낮았고 18:00 그룹 쥐의 뇌세포 내 유리 Ca 2+ 농도는 6:00 그룹에 비해 뚜렷하게 낮았다. 18:00 그룹과 24:00 그룹 쥐의 혈청 ET 함량은 6:00 그룹에 비해 뚜렷하게 낮았다. 24:00 그룹 쥐의 혈청 VEGF 함량은 6:00 그룹과 12:00 그룹에 비해 뚜렷하게 낮았다. 18:00 그룹과 24:00 그룹 쥐의 뇌조직 병리 변화는 6:00 그룹과 12:00 그룹에 비해 뚜렷하게 경미하였다. 결론: 24시간 주기 리듬은 쥐 뇌허혈 재관류 손상에 뚜렷한 영향을 미쳤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