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논문 기본정보

The Vertical Structure and Composition of Homegarden Plants in the Horqin Sandy Land of the Mongols-A case study in the Horqin Juun Garon County of Inner Mongolia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植物分類與資源學報 = Plant diversity and resources
ISSN 2095-0845,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JIN, Lan,HA, Si-ba-ge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본 논문에서는 네이멍구(Inner Mongolia) 퉁랴오시(Tongliao) 커얼친좌익후기(Horqin Left Wing Rear Banner) 몽골족 거주지역에서 무작위 샘플링과 농가 추천으로 30개의 농가를 선택하고 인근 지역의 한족 거주지역에서 10개의 농가를 선택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전반 정원 면적 내에서 정원 샘플을 채집하고 40개의 샘플을 설정하여 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네이멍구 퉁랴오시 커얼친좌익후기 몽골족 정원과 인근 지역 한족 정원식물의 수직 구조는 주로 0~1m, 1~2m, 2~5m, 5~10m, gt;10m 등 5가지 유형이 있었으며, 그중 작은 규모의 정원과 큰 규모의 정원 모두 5m 미만의 계층에서 우세를 차지하였다. 두 개 민족 정원식물의 재배 모드를 연구한 결과, 커얼친좌익후기 몽골족과 인근 한족을 비교하였을 때 현재 관상용 식물을 아주 적게 재배하고 있으며 일상 생활과 관계되는 야채 식물을 재배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다. 그러나 인근 지역의 한족은 환경미화용 정원식물을 재배하는데 관심을 두고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MVSP 통계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정원 유형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커얼친좌익후기 몽골족의 정원은 주로 4가지 유형이 있었으며 인근 한족 정원은 3가지 유형이 있었다. 현지 몽골족과 인근 한족의 정원은 일정한 차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차이는 두 민족 간의 농경 문화 전통 및 축목업 식물 문화의 차이, 정원 면적, 정원 역사 및 정원 관리 수준, 전통적인 식물 이용 지식의 차이에 의한 것이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411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Homegarden plants,the vertical structure of homegarden,composition of species,the Mongolian of Horqin Juun Garon Country,Han nationality,정원식물,수직구조,종 구성,커얼친좌익후기 몽골족,한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