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논문 기본정보

Selection and Comparison of Structure of Microhabitat by Giant Pandas in Regenerative and Remnant Bamboo Forests of Arrow Bamboo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四川動物 = Sichuan journal of zoology
ISSN 1000-7083,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ZHOU, Shi-qiang,LI, Ren-gui,YAN, Xiao,HUANG, Jin-yan,LIU, Dian,HUANG, Yan,LI, De-sheng,ZHANG, He-mi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대왕판다 Ailuropoda melanoleuca의 활동이 활발한 쓰촨워룽국가급 자연 보호구의 '우이펑' 지역에서, 고정적인 모니터링 라인을 설치하고 재생 대나무숲(regenerative bamboo forest)과 남은 대나무숲(remnant bamboo forest) 중 대왕판다의 활동 흔적과 서식지 자료를 정기적으로 수집하였다. 노선 모니터링과 표본 조사를 통하여 분석한 결과, '우이펑' 지역의 Fargeria spathacea Franch와 Bashania faberi는 해발고에 따라 계단식으로 분포되었다. 즉 해발고가 2,700 m이하일 때 Fargeria spathacea Franch 숲이고 해발고가 2,300~3,600 m 사이에 있을 때 Bashania faberi 숲이었다; Bashania faberi의 재생 대나무숲과 남은 대나무숲은 모자이크 결합 방식으로 분포되었는데, 이 분포는 대왕판다의 계절성 이동, 식물 전환, Bashania faberi의 개화와 고사 및 자연 재생에 유리하다. 2012년 9월부터 2013년 11월까지 모니터링 데이터에 의하면, 야생 대왕판다는 주로 재생 대나무숲에서 생활하고 있으며, 이 대나무숲에 대한 이용률이 91.94%에 달한다. 그리고 매달 그 이용률이 서로 다르다(P 재생 대나무숲과 남은 대나무숲의 미소서식지(microhabitat) 구조를 비교한 결과, 이 두 대나무숲 사이에는 작은 부분의 변량을 제외하고(경사도, 관목층 피복도, 초본층 피복도, 죽순 밀도, 대나무 밀도, 개체군 밀도와 고사한 대나무 밀도), 기타 각 변량 사이에는 통계적 차이가 없었다(P gt;0.05). 동시에 대나무의 질량[지상부 직경(diameter at ground), 대나무 높이와 생물량]이 대왕판다가 선택 이용할 수 있는 환경 표준에 도달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302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Ailuropoda melanoleuca,Bashania faberi,regenerative bamboo forest,remnant bamboo forest,spatial distri-bution,selection,microhabitat,structure,대왕판다,Bashania faberi,재생 대나무숲,남은 대나무숲,공간 분포,선택 이용,미소서식지,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