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지구 온난화(global climate warming)는 현실적으로 존재하며, 또한 농업생산에 영향을 미친다. 본 논문은 중국 안후이성(Anhui Province)의 일별 기상관측 자료 및 작물의 생물계절(phenophase) 자료에 근거하여, 통계학적 방법으로 24절기(24 solar terms) 기후변화 및 겨울밀(winter wheat)과 일모작벼(single-season rice)가 생물계절에 대한 반응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중국 안후이성 24절기 평균기온은 정규분포(quasi-normal distribution)인 것으로 나타났고, 24절기 중 대서(Great Heat)가 제일 덥고(28.5±0.9℃), 대한(Great Cold)이 제일 추우며(2.5±1.4℃), 각 절기의 기온차이는 뚜렷하고, 24절기 순환과정에서 기온은 상승되는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곡우(Grain Rain)-소서(Limit of Heat) 절기에 강수량(precipitation)이 집중되었고, 하지(Summer Solstice)에 강수량이 제일 많고(151.4 mm), 동지(Winter Solstice)에 강수량이 제일 적으며(13.5 mm), 24절기의 연별 변화는 크고, 또한 선형변화(linear trend) 추세는 뚜렷하지 않았다. 근 52 년의 농업기후 자원은 뚜렷하게 변화되었는데, 겨울밀과 일모작벼의 생장단계 ge;10℃에 적합한 유효적산온도(active accumulated temperature) 단계가 증가되었고, 특히 겨울밀 생장단계의 기후가 뚜렷하게 개선되었으며, 강수량은 겨울밀의 생장단계에 뚜렷한 변화가 없었지만 일모작벼의 생장단계에는 증가되는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17.5mm/10a), 일조시간(sunshine hours)은 겨울밀과 일모작벼의 생장단계에 모두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겨울밀과 일모작벼의 24절기의 기후변화에 대한 반응에서 중국 화이베이(Huaibei)지역으로부터 겨울밀의 생물계절(biotic season)은 보편적으로 앞당겨지고, 생장단계가 감소되었으며, 중국 장화이(Jianghuai) 일모작벼의 파종(sowing)-새싹이 돋아나는 단계(reviving)는 앞당겨지는 추세이지만 분얼기(tillering)-성숙단계(maturing stages)는 지연되는 추세이고, 전체적인 생장단계가 길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유효적산온도 및 평균기온은 생물계절의 변화를 발생시키는 주요 인자이고, 기온일교차(diurnal air temperature)는 작물의 생장단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자이며, 강수량과 생물계절은 정적 상관관계(positive correlation)이고, 강수량 감소, 기온 증가는 생장단계를 촉진시키며, 일조시간은 영양생장단계(vegetative growth period)를 촉진시키지만 생식생장단계(reproductive growth period)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