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HU, Gao,WU, Qiu-lin,WU, Xiang-wen,JIANG, Yu-ying,ZENG, Juan,DI, Bao-ping |
초록 |
[목적] 1980년 중국 동북 지역의 1세대 멸강나방은 헤이룽장성(Heilongjiang Province)에서 크게 발생하였으며, 1세대 성충의 최고 우화시기에 대량의 멸강나방을 유도하였다. 그러나 2세대 멸강나방은 헤이룽장성에서 크게 발생하지 않고 지린성(Jilin Province)에서 크게 발생하였다. 헤이룽장성 1세대 성충은 어디로 이주하고, 지린성 2세대 멸강나방의 대발생 자원은 또 어디에서 근원된 것인가? 본 논문은 1980년 동북 멸강나방 1세대 성충의 이주 동태와 대발생 개체군의 형성 과정을 해석하여 멸강나방 간헐적 창궐 예측과 관리에 근거를 제공하였다. [기법] WRF 모드 출력의 높은 해상도 대기 배경장을 기반으로 하고, 궤적 분석과 기후학 배경 분석을 통하여, 1980년 동북 멸강나방 1세대 최고 발생 시기 과정과 이주 동태 및 그 대발생 개체군의 형성 메커니즘을 상세하게 해석하였다. [결과] 1980년 지린성 1세대 멸강나방은 최고 발생 시기에 동북 사이클론 강수의 영향을 받았으며, 1세대 성충은 외지로 이주할 수 없었고 현지에 체류하게 되었다. 헤이룽장성으로부터 남쪽으로 이주하는 과정에서 폭우를 만나 지린성에 강제 착륙할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그 해 지린성 2세대 멸강나방의 발생을 초래하였다. 이 외, 아열대 고기압 위치가 남쪽으로 향하고, 고기압 중심이 7월 6번째 반순(pentad)에 동북 평원으로 이주하여 북쪽으로 향하는 기류를 나타냈다. 랴오닝성의 일정한 비례의 남쪽 이주 멸강나방은 바다를 넘어 산둥(Shandong), 허베이(Hebei)로 이동하는 특성이 있었다. [결론] 외지로 성공적으로 이주하지 못하고 체류되는 현상(이주한 후 궤적 사이클론 혹은 날씨에 의한 강제 착륙 등 최종적으로 동북 경내에 착륙한 현상을 포함)은 동북 2세대 멸강나방 발생의 근복적 원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