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표층 퇴적물 색상지표 및 그 기후학적 의미를 이해하는데 있어 핵심은 현대학적 퇴적물 색상(밝기 L*, 적색 정도 a*, 황색 정도 b*)과 기후 매개변수(연평균기온, 연간강수량)와의 상관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대부분 연구는 현대학적 토양 및 고토양 서열 연구에 집중된 반면, 현대학적 하천-호수의 퇴적물에 대한 연구는 별로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이다. 색상지표와 기후 매개변수와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 중국 북서부 건조지역에서 57개 표층 퇴적물 견본을 채집하여 분석하였다. 이 지역에서 큰 공간 척도의 관련 연구가 진행된 것은 중국에서는 최초이다. 연구 결과, L*, a*, b* 3가지 색상지표는 각각 67.0~80.0, 1.2~9.4, 7.2~22.1 범위에서 변화하였다. 이 중에서 L*와 a* 사이의 상관관계는 0.29로서 낮은 수준이었고 a*와 b* 사이의 상관관계는 0.83으로서 높은 수준이었다. 견본 채집 수량이 기상관측기지의 수량보다 훨씬 많고 둘 사이에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없는 점을 고려한 상황에서 해발고와 온도 사이의 선형 관계에 기반하고 기술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L* 및 a*와 그들 채집 지점 해발고 사이에 존재하는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그들의 상관관계는 각각 0.19와 0.23으로서 낮은 수준이었다. 이는 색상지표와 온도 사이에는 필연적인 연관이 없음을 설명한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경도(longitude) 및 위도(latitude)의 변화가 강수량의 많고 적음과 상관되는 점에 기반하고 기술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L* 및 a*와 경도 및 위도 사이에 존재하는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그들의 상관관계는 L*는 0.28과 0.34이었고 a*는 0.55와 0.53으로서 높은 수준이었다. 이는 a*와 강수량 사이의 상관관계는 L*와 강수량 사이의 상관관계보다 높음을 의미한다. 기상관측기지 근처의 색상지표를 더 한층 가중평균값 계산방법으로 L* 및 a*와 강수량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각각 0.44와 0.55로서 높은 수준이었다. 이 외에도, L*와 CaCO 3 함량 사이의 상관관계는 매우 낮았고 a*와 적철석(hematite) 사이에는 큰 상관이 없었다. 향후, 색상지표 각각의 색상 유발 미네랄을 확정하기 위해서는 유기물질 함량 및 암석의 자기장 측정이 필요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