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MODELING MARINE ATMOSPHERIC DUCT FORMATION FOR A TYPICAL FOG ON YELLOW SEA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海洋與湖沼 = Oceanologia et limnologia Sinica
ISSN 0029-814x,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YUAN, Xia-yu,GAO, Shan-ho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2009년 4월 9일-12일 사이 중국 황해 해역에서는 한차례 고기압 시스템의 영향을 받은 해무 사건이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위성 관측과 고공기상 관측자료 및 황사 예보 모델(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 Model) 등을 이용하여 이번 해무 과정 및 그에 따르는 대기 덕트를 관측하고 분석한 다음 수치 시뮬레이션하였다. 해무와 덕트의 발전은 3개 단계로 나눌 수 있다. (1) 대기 덕트는 해무보다 먼저 황해의 해수면에 나타났다. 고기압 침강의 영향을 받아 황해 상공에서는 역온층 및 강한 습도 기울기(humidity gradient)가 존재하였으며 또한 해수면 접촉형 덕트(touching-sea-level surface duct)와 해수면 비접촉형 덕트(non-touching-sea-level surface duct)로 나타났다. (2) 해무는 고기압의 서쪽에서 나타난 후, 고기압 시스템에 따라 동쪽으로 이동하면서 점차 약해졌으며 또한 황해 북부를 향해 확장하였다. 복사 냉각는 해무 윗쪽 부근의 역전층을 강화시켰지만 해무의 기계적 난류는 그 윗쪽 습도 기울기를 감소시켰으며 또한 해무 윗쪽 부근에 대응되는 공중에 떠 있는 강도가 약한 덕트를 형성하거나 덕트의 소실을 초래하였다. (3) 고기압 시스템의 영향을 받아 건조한 공기는 해무 영역에 침강되어 황해 수면 위의 해무를 소산시켰다. 해무 윗쪽 부근에서는 역온층이 여전히 존재하는 동시에 습도 기울기가 증가되었다. 아울러, 황해 상공에서는 해수면 비접촉형 덕트로 점차 바뀌었다. 결론적으로, 고기압 시스템은 덕트의 발생을 위하여 유리한 조건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해무의 생성에도 유리하였다. 그리고 해무의 변화 발전 과정에서 해무 윗쪽 수증기 기울기의 변화는 덕트의 유형 및 강도를 변화시켰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0361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Yellow Sea,atmospheric duct,sea fog,WRF model(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 Model),observation analysis,numerical modeling study,황해,대기 덕트,해무,황사 예보 모델,관측 분석,수치 시물레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