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본 논문에서는 중국 헤이룽장성 2010년 조사 자료 및 중점 생태 공익림 보호구역(5075개)의 모니터링 자료 및 같은 해 헤이장성, 지린성 및 네이멍구자치구의 59개 기상관측소에서 얻은 기상 자료에 비추어, 삼림의 탄소저장량을 종속변수로 하고 흉고직경, 1헥타르 당 그루수, 해발, 경사도 및 강우와 온도의 승수인자를 독립변수로 한 다음, GeoDA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공간 오차 모델을 구축하였으며 또한 전역 Moran Ⅰ를 이용하여 다양한 공간 척도 조건에서 모델 잔차에 따르는 공간적 자기상관성을 묘사하였다. 그리고 최적의 대역폭(25km) 조건에서의 국부적 Moran Ⅰ계산을 통하여 모델 잔차에 따르는 공간적 분포를 표현하였으며, 또한 계산 그룹 내 공간적 분산을 통하여 모델 잔차의 공간적 이질성을 해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모델의 예측 결과에 기반하여 헤이룽장성 삼림 탄소저장량의 공간적 분포도를 구축하였다. 그 결과, 헤이룽장성 삼림 탄소 저장량의 분포는 공간적 효과가 있었다. 본 논문에서 선택한 임분, 지형 및 기상 등 인자는 모두 삼림 탄소 저장량의 공간적 분포에 뚜렷한 영향을 미쳤으며 그중 흉고직경은 가장 주요한 영향 인자였다. 공간 오차 모델은 모델 잔차의 공간적 자기상관성 및 공간적 이질성을 매우 잘 해결할 수 있었다. 모델의 예측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 삼림 탄소 저장량의 공간적 분포는 매우 큰 차이가 존재하였으며 장광차이 산(Zhangguangcai Mountain), 샤오싱안령 산맥(Xiao Xing'an Mountain) 및 다싱안링 산맥(Da Xing'an Mountain) 지역은 삼림 분포가 비교적 밀집한 지역이었으며, 쑹넌평원(Songnen Plains) 지역에는 삼림 탄소 저장량의 분포가 비교적 적은 반면, 완다 산(Wanda Mountain) 지역은 중간정도 수준이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