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SHI, Xue-ying,XU, Yong-jiang,WU, Ning-ning,LIU, Xue-zhou,YANG, Hong-jun,ZANG, Kun,SHI, Bao,LI, Cun-yu |
초록 |
양식 박대(Cynoglossus semilaevis)의 무안측 흑변(blackening)과 관련되는 세포학적 특성을 인식하고자, 현미경 관찰법을 이용하여 피부의 멜라닌색소포(melanophore), 황색소포(xanthophore), 홍색소포(iridophore)의 형태 특성을 연구하고, 유안측 피부, 무안측의 정상적 피부와 흑변 피부 중 3가지 색소 세포의 양적 분포 특성을 비교하였다. 무안측 흑변의 분자 메커니즘을 심층적으로 제시하고자, 박대 POMC(proopiomelanocortin) 유전자의 cDNA 서열을 클로닝하였다. 연구 결과, 멜라닌색소포는 비교적 크고 검은색과 갈색 색소 입자를 함유하고 있었으며, 뚜렷하지 않은 나뭇가지 구조와 연장된 방사선 구조 등 2가지 형태가 존재하였다. 황색소포는 비교적 작았으며 황색소 입자를 함유하고 있었다. 홍색소포는 가장 작았으며 홍색소 입자를 함유하고 있었다. 박대 POMC 유전자의 cDNA 서열 길이는 910 bp로 114 bp의 5' 비번역 영역과 154 bp의 3' 비번역 영역, 길이가 642 bp인 개방형 해독틀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총 213개 아미노산을 코딩할 수 있었다. ACTH, α-MSH, β-MSH, γ-LPH, 베타 엔돌핀(β-endorphin) 등 5개 폴리펩티드 서열이 포함되었으나, γ-MSH과 대부분의 연결영역이 결실되었다. 박대 POMC 유전자의 아미노산 서열과 기타 어류의 상동성은 30%~64%였다. 정량 PCR 분석 결과, POMC mRNA는 주요하게 뇌하수체에서 발현되고 그 다음으로 대뇌, 생식선과 무안측의 흑변 피부였다. 정상적인 피부와 흑변 피부 중의 차등 발현 결과는 무안측의 흑변 피부 내 POMC mRNA의 발현량이 가장 높으며, 유안측 피부 및 무안측의 정상적인 피부 내 POMC mRNA의 발현량과 뚜렷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설명하는데, 이는 POMC의 발현과 무안측 흑변 형질이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제시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