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본 연구는 농경지와 농촌마을로부터 발생하여 소하천으로 유입되는 비점오염물질을 경감시키기 위하여 농업간선배수로 끝의 논에서 배수로 물을 관개수로 이용하였을 때 수질정화효과를 살펴보고, 비점오염물질 정화를 위한 효과적인 벼 재배 양식을 탐색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모든 벼 재배양식에서 하천으로 유입되는 비점오염물질이 정화되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잡초의 건물량을 포함한 벼 재배양식별 총건물생산능력은 기계이앙재배에서 가장 높았으나, 무경운자연재배와는 차이가 적었고, 비점오염물질인 T-N과 $P_2O_5$ , $K_2O$ 의 흡수량은 기계이앙재배 gt; 무경운자연재배 gt; 건답직파재배 순으로 높았다. 벼 전 생육기간동안 비점오염물질의 정화량은 T-N과 T-P, K 모두 무경운자연재배 gt; 건답직파재배 gt; 기계이앙재배 순이었는데, 기계이앙에 비하여 무경운자연재배에서 T-N 323, T-P 12, K 183 kg $ha^{-1}$ 가 더 정화되었으며, 건답직파재배에서는 T-N 68, T-P 0.7, K 16 kg $ha^{-1}$ 가 더 정화된 결과를 보였다. 기계이앙재배는 건물생산량과 비점오염물질의 흡수량은 가장 많았으나 관개 소요량이 적고 시비에 의하여 비점오염물질의 정화효과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벼 생육단계별 비점오염물질정화량은 기계이앙재배의 경우 분얼기 gt; 결실기 gt; 신장기 순으로 높았으나, 무경운자연재배와 건답직파재배에서는 결실기 gt; 분얼기 gt; 신장기 순이었다. 벼 재배양식별 쌀수량은 기계이앙재배의 4,698 kg $ha^{-1}$ 와 비교하여 무경운자연재배는 13%, 건답직파재배는 15% 감수되었다.관관계를 보였고, $PO_4-P$ 가 산림과 -0.451(p $NO_3-N$ , pH는 모든 유역 특성과 유의성이 없었고 수역은 모든 수질 항목과 유의성이 없었다. 또한 시가화는 T-N, $NO_3-N$ , pH을 제외한 모든 수질 항목에서 유의수준 1%이내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수질 악화의 원인으로 작용하였고 산림의 경우 대부분의 수질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여 수질 개선의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gt; dS $m^{-1}$ 이었고, 평균은 1.15 dS $m^{-1}$ 이었다. $NO_3-N$ , $PO_4-P$ , $K^+$ , $Ca^{2+}$ , $Mg^{2+}$ 및 $Na^+$ 의 분포범위는 각각 $10 sim212$ , $0.56 sim26.1$ , $10 sim295$ , $16 sim215$ , $9 sim54$ 및 $10 sim53$ mg $L^{-1}$ 이었다. 평균 농도 값은 $NO_3-N$ 100, $PO_4-P$ 12.15, $K^+$ 99, $Ca^{2+}$ 78, $Mg^{2+}$ 26 및 $Na^+$ 26 mg $L^{-1}$ 이었다. 양액 재배 후 버려지는 폐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