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LI, Zhe,YE, Xiao-lei,YANG, Sheng-sheng,YIN, Pei-hao,HU, Song-jiao,CHEN, Lei,FANG, Lin |
초록 |
목적: 형광 가시화 영상으로 나타나면서도 저산소증 유도인자-1α(hypoxia-inducible factor-1α, HIF-1α)가 안정적으로 과발현된 누드 마우스 결직장암 이종 이식 모델을 구축하였다. 방법: 저산소증 유도제 CoCl 2 로 다양한 인간의 결직장암 세포계(SW480, SW620, LOVO 및 HCT116 세포)를 처리한 다음, HIF-1α의 발현이 유도되는 상황에 근거하여 적합한 표적 세포를 선택하였다. 그리고 HIF-1α의 cDNA 염기서열을 렌티바이러스 발현 벡터 pLV-TRC-EGFP에 클로닝하여 pLV-HIF1α-EGFP 렌티바이러스 발현 플라스미드를 구축하였으며 또한 HIF-1α가 과발현된 렌티바이러스 입자 Lenti-HIF1α-EGFP를 포장하였다. Lenti-HIF1α-EGFP를 SW480 세포에 감염시킨 다음, 퓨로마이신을 이용하여 HIF-1α가 안정적으로 발현된 세포주 SW480HIF-1α를 선별하였으며 Western blotting을 통하여 SW480HIF-1α 세포 내 HIF-1α 및 그 하위 단백질 VEGF, M1형 피루베이트 키나아제(pyruvate kinase expression M1, PKM1) 등의 발현 상황을 검사하였으며 Transwell 실험을 통하여 그 전이 능력을 검사하였다. 누드 마우스의 복강에 SW480HIF-1α를 주사하여 결직장암 이종 이식 모델을 구축한 다음, 도립 형광 현미경을 통하여 누드 마우스의 복강에 이식된 종양의 결절을 관찰하였다. 결과: 정상 산소 조건에서 4가지 결직장암 세포는 모두 HIF-1α를 발현하지 않았지만 CoCl 2 유도를 거친 후, SW480 세포계를 제외한 세포는 모두 유도되어 HIF-1α를 발현할 수 있었다. 따라서, SW480 세포를 선정하여 표적 세포를 연구하였다. HIF-1α가 안정적으로 발현된 세포주 SW480HIF-1α를 성공적으로 구축하였으며 SW480HIF-1α 세포에서 HIF-1α, VEGF 및 PKM1의 발현 수준은 모두 야생형 SW480 세포에서보다 높았고 그 전이 능력은 야생형 SW480 세포에서보다 뚜렷하게 증진되었다[관찰 시야에서의 전이 세포수: (250±11)vs(50±5)개, P 누드 쥐의 장벽에 형성된 종양 결절수는 SW480 그룹에서보다 SW480HIF-1α 그룹에서 뚜렷하게 많았다[(15±4)vs(4±1)개, P 결론: HIF-1α가 과발현된 형광 가시화 누드 쥐 이종 이식 모델을 성공적으로 구축함으로써 추가적인 관련 기능학의 연구 및 약물 선별을 위한 조건을 마련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