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프레임 분석에 있어서 무보도 현상의 적용 효과 연구 - 미디어법에 대한 헌재판결 보도 사례를 중심으로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한국언론학보 =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communication studies
ISSN 1229-7526,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김수정,정연구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0-01-01
초록 이 연구는 언론사의 보도태도나 현실을 바라보는 틀을 분석하는 뉴스 프레임 분석에 보도가 되지 않은 무보도 사안을 고려해야 당해 언론사의 지향이 완전히 분석될 수 있다는 견해를 뒷받침해 보이고자 했다. 신문과 방송의 겸영을 허용한 미디어법의 국회 처리과정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무효청구 기각 결정 시기에 『경향신문』, 『동아일보』, 『조선일보』, 『한겨레』가 보도한 신문 기사를 중심으로 뉴스 프레임 분석을 했고, 보도하지 않은 기사를 중심으로 무보도 프레임 분석을 실시했다. 뉴스 프레임 유형으로는 총 4개의 차원에서 8개의 프레임을 추출할 수 있었다. 『동아일보』, 『조선일보』는 헌재 결정에 대한 유효 강조 프레임, 산업과 다양성 동반성장 프레임이 우세했다 『경향신문』과 『한겨레』의 경우에는 헌재 결정에 대한 무효 강조 프레임, 정치권 책임 부각 프레임, 산업과 다양성 동반몰락 프레임, 입법부 재논의 촉구 프레임이 나타났다. 반면 신문별 보도하지 않은 사건의 비교를 통해 추출한 무보도 프레임 분석결과, 『조선일보』의 경우 새로운 의제 설정으로 국면을 전환하려했고, 『동아일보』는 문제제기들을 협애화하려했고, 『경향신문』과 『한겨레』의 경우는 문제제기의 무오류를 주장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무보도 프레임 분석을 통해 보도 프레임으로는 볼 수 없었던 매체의 의도를 더 찾아 낼 수 있어 무보도 프레임이 프레임 분석을 일정수준 보완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5625664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무보도,프레임,미디어법,Non-reporting,Frame,the Media 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