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래동요의 음악적 특성에 따른 교육 방향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국악교육연구 = Journal of Korean music education research |
ISSN | 1976-3522, |
ISBN |
저자(한글) |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0-01-01 |
초록 | 전래동요(傳來童謠)란 '옛부터 전해 내려오는 아이들의 노래'를 말한다. 7차 교육과정에 의한 즐거운 생활 교과서에 전래동요가 다수 게재되면서 전래동요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였다. 그런데 전래동요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에서 전래동요의 본질적인 특성을 간과하고 예술음악의 일반적인 연구방법론을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가 발견된다. 또한 교과서의 전래동요는 고착화 현상을 보여준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전래동요의 존재양상을 살펴 그 본질적 특성이 어디에 있는지 알아보고, 전래동요를 전래동요답게 교육하기 위해 어떤 교육방법이 적용되어야 하는지 살펴보았다. 아울러 전래동요의 존재양상을 통해 전래동요의 교육적 가치와 한국 음악 문화에서의 위상을 점검해 보았다. 전래동요는 말과 노래의 중간에 위치하며, 어린 시절에 누구나 부르는 것으로서 그 영향이 평생에 걸쳐 남게 되며, 창의적 표현으로 다양하게 전승되며, 놀이와 함께 함으로써 몸으로 체득되며, 공동체 놀이를 통해 사회성을 기를 수 있는 특성이 있다. 아울러 전래동요에서 체득한 음악어법은 한국 음악의 다른 장르를 향유할 수 있는 기반이 되고, 공동체가 같은 정서를 공유하고 소통할 수 있는 토대가 되는 것이다. 이제 전래동요의 특성을 그대로 지켜서 교육해야 하는 것이 우리의 몫이다. 말과 가까운 것을 굳이 노래로 고착화시키지 말아야 하며 오히려 말처럼 즐기도록 도와야 한다. 다양한 말 붙임새를 활용하여 진정한 한국의 리듬이 어떤 것인지 느끼도록 해야 한다. 누구나 부담 없는 자연스런 발성으로 노래하고, 놀이를 통해 몸으로 익히고, 가사를 마음대로 바꾸어 부를 수 있어야 한다. 그 과정에서 우리의 음악 어법을 자연스럽게 가지고 놀 수 있도록 해야 하는 것이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56343164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전래동요,교육방향,놀이노래,음악어법,정서,창의적 표현,children's folk songs,Education Direction,musical grammar,emotion,creative expression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