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benthic diatoms, protozoa and meiobenthos in the sediments of the Changjiang Estuary and East China Sea in spring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態學報 = Acta ecologica sinica
ISSN 1000-0933,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MENG, Zhao-cui,XU, Kui-do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Ludox-QPS 방법을 이용하고 또 퇴적 환경 인자의 종합적 분석을 결합하여 2011년 4월에 중국 창장하구(Changjiang estuary) 및 동중국해(east China Sea) 10개 기지에서 수집한 저서 규조류, 섬모충류(ciliates)와 종속영양 소형편모류(heterotrophic microflagellates, HMF)를 대표로 하는 미소저서생물(meiobenthos) 및 소형저서생물(microbenthos)의 구성, 풍도와 바이오매스, 분포 및 생태특성을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저서규조류의 풍도(5.92×10 4 개/10cm 2 )와 바이오매스(83.29 mu;g C/10cm 2 )는 섬모충류(풍도는 1,036개/10cm 2 , 바이오매스는 3.33 mu;g C/10cm 2 ), HMF(풍도는 4,451 개/10cm 2 , 바이오매스는 2.51 mu;g C/10cm 2 )와 소형저서생물[풍도는 (1,947±849) 개/10cm 2 , 바이오매스는 (49.01±22.05) mu;g C/10cm 2 ]보다 훨씬 높았다. 감정한 11개 소형저서생물 군집 중에서, 선충(nematode)은 소형저서생물 총 풍도의 90%와 총 바이오매스의 37%를 차지하였다. 저서규조류 바이오매스는 창장하구 및 동중국해 해역에서 연안으로부터 외해까지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분포특성을 나타냈으며, 저서섬모충, HMF 및 소형저서생물의 분포는 상반대로 나타났다. 수직 분포에서, 76%의 규조류와 80%의 선충은 0-2 cm 퇴적물 표층에 분포되었으며, 1%의 규조류와 6%의 선충만 5-8 cm 분층에 분포되었다. 통계 분석결과, 저서규조류의 현존량은 퇴적물 중 엽록소 a 함량과 극히 현저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저층수 온도와 약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해당 해역의 저서 원생동물과 소형저서생물의 분포는 여러 인자 또는 비단일적인 환경인자의 공동작용 영향을 받는다. 비교분석결과, 창장하구 및 동중국해 단위체적 퇴적물 중의 규조류 풍도는 수체 중의 규조류 풍도보다 두자릿수(two orders magnitud) 높았으며, 퇴적물 중 부분적 엽록소 a 함량은 저서규조류에 의해 기여된 것이다. 표층 8 cm 퇴적물 중 섬모충의 풍도는 상층 30 m 수주(water column) 중 섬모충 풍도의 약 30배이며, 바이오매스는 후자의 약 40배이다. 비록 섬모충의 바이오매스는 소형저서생물보다 훨씬 작았지만 그 추정한 생산력은 후자의 약 3배에 달하였다. HMF는 개체가 더 작음으로써 그 회전율(turnover rate)은 섬모충보다 더 높을 수 있다. 창장하구 및 동중국해 대륙붕(continental shelf)의 원생동물과 소형저서생물의 고현존량 및 생산력은 그 해당 해역 생태계 중에서 중요한 역할을 일으킨다는 것을 예측하고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97776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meiobenthos,microbenthos,standing crops,distribution,changjiang estuary,east China Sea,마이크로 저서생물,소형저서생물,현존량,분포,창장하구,동중국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