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nbsp; nbsp;이 연구의 목적은 헌강왕릉과 정강왕릉의 호석구조의 原形을 밝히는 데 있다. 경주 남산의 보리사와 통일전 사이에 있는 이 두 능은 오랫동안 피장자를 알 수 없는 왕릉이었으나, 1730년경부터 경주김씨 일족에 의하여 헌강왕릉과 정강왕릉으로 불려지기 시작했다. 그러나 『삼국사기』신라본기에 기술된, 헌강왕과 정강왕 장지 지명의 현재 위치에 대한 고증이 불확실하다. 헌강왕릉과 정강왕릉은 불과 300여미터의 거리를 두고 있고 외관상 비슷한 모습이므로 동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갑석이 존재하지 않고, 요석이 각각 4단과 2단으로 만들어진 독특한 호석구조 때문에, 헌강왕릉과 정강왕릉의 조성시기에 대한 논란도 계속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처음 왕릉을 조영할 때는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헌강왕릉과 정강왕릉의 갑석을 발견하고, 두 왕릉의 호석구조 原形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첫째, 왕릉 봉분의 무너짐을 방지하는 호석의 기능을 위하여 갑석이 필수적인 요소임을 밝혔다. 둘째, 헌강왕릉과 정강왕릉 주변지역에 대한 지표조사를 통하여 갑석과 요석으로 추정되는 석재 23점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발견된 석재들이 헌강왕릉과 정강왕릉에 사용되었던 原석재이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셋째 이 연구에서는 1916년도 조선총독부 발행『朝鮮古蹟圖譜』에 나오는 1910년대 헌강왕릉과 정강왕릉 기록사진과 1995년도 경주문화재 연구소가 간행한 『憲康王陵補修收拾調査報告書』에 나오는 헌강왕릉 토층단면도 등 자료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하여 헌강왕릉과 정강왕릉 호석구조의 原形은 지대석, 3단 요석, 갑석으로 이루어진 형식이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이제까지 잘 알려지지 않은, 헌강왕릉과 정강왕릉에서의 갑석의 발견과 호석구조 原形을 추정 복원하였다는 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그리고 이번 연구에서는 헌강왕릉과 정강왕릉의 조성시기를 上限은 신문왕롱 이후로 보았으나, 下限에 대해서는 더 많은 자료수집과 연구가 필요하여 다음 과제로 남겨두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