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ZHOU, Shi-qiang,LI, Ren-gui,YAN, Xiao,HUANG, Jin-yan,LIU, Dian,HUANG, Yan,LI, De-sheng,ZHANG, He-min |
초록 |
대왕판다 Ailuropoda melanoleuca의 활동이 활발한 쓰촨워룽국가급 자연 보호구의 '우이펑' 지역에서, 고정적인 모니터링 라인을 설치하고 재생 대나무숲(regenerative bamboo forest)과 남은 대나무숲(remnant bamboo forest) 중 대왕판다의 활동 흔적과 서식지 자료를 정기적으로 수집하였다. 노선 모니터링과 표본 조사를 통하여 분석한 결과, '우이펑' 지역의 Fargeria spathacea Franch와 Bashania faberi는 해발고에 따라 계단식으로 분포되었다. 즉 해발고가 2,700 m이하일 때 Fargeria spathacea Franch 숲이고 해발고가 2,300~3,600 m 사이에 있을 때 Bashania faberi 숲이었다; Bashania faberi의 재생 대나무숲과 남은 대나무숲은 모자이크 결합 방식으로 분포되었는데, 이 분포는 대왕판다의 계절성 이동, 식물 전환, Bashania faberi의 개화와 고사 및 자연 재생에 유리하다. 2012년 9월부터 2013년 11월까지 모니터링 데이터에 의하면, 야생 대왕판다는 주로 재생 대나무숲에서 생활하고 있으며, 이 대나무숲에 대한 이용률이 91.94%에 달한다. 그리고 매달 그 이용률이 서로 다르다(P 재생 대나무숲과 남은 대나무숲의 미소서식지(microhabitat) 구조를 비교한 결과, 이 두 대나무숲 사이에는 작은 부분의 변량을 제외하고(경사도, 관목층 피복도, 초본층 피복도, 죽순 밀도, 대나무 밀도, 개체군 밀도와 고사한 대나무 밀도), 기타 각 변량 사이에는 통계적 차이가 없었다(P gt;0.05). 동시에 대나무의 질량[지상부 직경(diameter at ground), 대나무 높이와 생물량]이 대왕판다가 선택 이용할 수 있는 환경 표준에 도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