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본 연구는 실험을 통하여 마늘이 저염 멸치젓의 숙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생멸치 중량에 식염을 20% 첨가한 멸치젓을 대조군으로 하고 실험군은 식염을 각각 10% 첨가한 후 마늘분쇄물과 즙의 첨가량을 2, 5, 8, 10%로 달리하여 제조한 후 숙성 30, 60, 90, 110일에 시료를 취하여 관능검사와 이화학적 성분분석을 행하였다.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이 나타내었다. 관능검사 결과 씹힘성은 숙성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감칠맛은 숙성 110일까지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다. 마늘냄새는 숙성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숙성 60일 이후로는 마늘냄새를 거의 느낄 수 없었고 부패취는 마늘냄새와 대조적으로 숙성기간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황색도는 대조군에 비하여 마늘 첨가군들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관능검사 결과는 마늘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부패취의 생성 억제 효과가 뛰어났으며 그 첨가량에 관계없이 60일 이상 숙성시키면 마늘의 향기성분은 대부분 휘발하였고 숙성 90일경이 관능적으로 가장 우수한 시기로 판단된다. 멸치젓 숙성 중 수분과 조지방은 미량 감소하는 경향이었는데 특히 조지방은 마늘의 첨가량이 않을수록 감소폭이 적었다. 산도는 멸치젓의 숙성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숙성 30일에 1.4~l.8g/100g의 범위었으나 숙성 90일에 급격히 감소하여 0.6~l.1g/100g까지 감소한 이후부터는 큰 변화가 없었다. 이상과 같은 실험을 종합하여 보면 저염 멸치젓 제조시 마늘을 첨가함으로서 부패취를 감소시키며 관능적으로 우수한 젓갈을 제조할 수 있었고, 이러한 특징은 멸치젓 제조시 첨가되는 마늘의 형태보다는 량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데 멸치 중량에 대하여 8%, 이상 첨가하였을 때 더 효과적이었다.꿔 입는 방법을 선택하였다. 독립변인으로는 자극을 3가지 제시하고 그에 따른 이미지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종속변인으로 세련된, 인상이 좋은, 신뢰로운, 깨끗한, 보수적, 매력적, 단정한, 여성적, 섹시한 수수한 10개의 형용사를 사용하여 5점 척도로 질문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 1에서 의복을 입은 외모에 따라 상대방의 반응은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것이라고 설정하구 각각 다른 3가지 각기 종류의 의복을 입고, 피험자들의 반응을 실제로 관찰한 결과, 자극1,2,3의 의복을 입은 외모에 따라 각각 다른 반응을 하였다. 핸드폰제시에서 1의 의복은 100%였고 3의 의복은 82%, 2의 의복에서는 50% 제시하였다. 따라서 의복을 입은 외모에 따라 타인의 반응은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 1이 지지되었다. 둘째, 의복을 입은 외모에 따라 인상형성의 이미지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 2를 조사하였다. 즉 자극1 의복과 10개의 형용사에 대해 인터뷰하였는데 그 결과 세련된, 매력적, 섹시한, 여성적 것이 높게 나타났다. 자극 2의 의복과 10개의 형용사에 대해 인터뷰한 결과, 자극 2의 의복은 주로 수수하고 신뢰롭고, 인상이 좋은 것이 높게 나타났다. 자극 3의복과 10개의 형용사에 대해 인터뷰한 결과, 깨끗한, 단정한, 여성적인 것을 가장 높이 평가하였다. 이 연구에서 의복을 입은 외모에 따라 인상형성의 이미지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본 연구가 지지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 1) 본 연구에서는 자극의 조건을 실험대상자가 소유하고 있는 의복에 한계를 두었다. 다양한 이미지의 의복을 선정하지 못한 점이 앞으로 더 연구하여야 할 점으로 본다. 2) 장소선정에 있어서 강남과 강북 서울중심과 지방 등으로 좀 더 세분화하면 다른 결과가 나을 수 있으리라 예상된다. 따라서 성격이나 가치관, 구매성향에 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