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SU, Song-jin,LIU, Jin-fu,MA, Rui-feng,HONG, Wei,CHEN, Zhi-fang,LIU, Wei,QI, Li-xia |
초록 |
탄소 저장량 추정 정밀도를 향상하고자, 토양 유기탄소 공간 이질성이 황산송(Pinus taiwanensis) 재생묘목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였으며, 지구통계학 방법을 이용하여 토양 유기탄소의 공간 변이 특성과 패턴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다이윈산(Daiyun Mountain) 황산송림 Ⅰ층(0-20 cm), Ⅱ층(20-40 cm)과 전체 절단면의 변이 계수는 각각 45.69%, 65.82%와 47.73%이며 중등 변이에 속하였다. 최적 이론 모델은 순서대로 지수 모델, 구형 모델과 가오스 모델이며, 강한 공간 자기상관성을 갖고 있고, 구조성 요소로 인한 공간 이질성 비례는 각각 11.03%, 0.20%와 12.90%이다. 유효사거리(effective ranges)는 18.60 m, 18.10 m, 14.55 m이다. 황산송림 토양 유기탄소 밀도의 각 이방성은 뚜렷하였으며, 공간 자기상관 범위(Moran's I)는 전반적으로 공간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약화되는 추세를 보였다. 프랙탈 차원 수치는 전체 절단면(1.940) gt;Ⅰ층(1.927) gt;Ⅱ층(1.917)이며, 세미 배리어그램(semi-variogram) 블록률(Block ratio) 파라미터가 반영하는 규칙과 일치하였다. 공간 분포 특징으로부터 볼 때, 황산송림 Ⅰ층, Ⅱ층과 전체 절단면 토양 유기탄소 밀도는 뚜렷한 밴드 모양과 패치 모양의 모자이크 분포(mosaic distribution)를 나타냈으며, 패치 형질과 크기는 그 차이가 뚜렷하였다. 황산송 재생묘목은 주요하게 특정적인 토양 유기탄소 밀도 패치 중에 분포되었고, 최대값과 최소값 패치 중에 매우 적게 분포되었다. 따라서 황산송림에 대해 자연림과 유사한 경영을 진행할 때, 그 토양 유기탄소의 풍부함과 결핍 정황 및 공간 이질성이 황산송 재생묘목에 대한 제약 효과를 고려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