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Spatial variability of the main contaminations in seawater environment in Xiamen Bay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海洋環境科學 = Marine environmental science
ISSN 1007-6336,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LI, Qing-sheng,JIANG, Jin-long,WANG, Cui,ZHAN, Xing-wang,WANG, Jin-ka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2010년에 세 차례에 걸쳐 중국 샤먼만(Xiamen Bay) 해역 해수 수질의 상황을 조사하였다. 군집 분석, 주성분 분석 등 다변량 통계 분석법을 종합적으로 응용하여 샤먼만 해역 수체 오염의 공간적 변이 특성 및 오염원을 분석하였고 대응하는 오염제어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군집 분석에서 관측기지를 2개 군집으로 나누었다. 첫번째 군집은 지우룽강 하구(Jiulong River Estuary) 해역, 동부 해역, 다덩(Dadeng) 해역에 분포된 관측기지이고 두번째 군집은 서부 해역, 퉁안만(Tongan Bay) 해역에 분포된 관측기지이다. 두번째 군집 수체의 질소, 인 농도는 첫번째 군집에 비해 높았고 플랑크톤 함량은 첫번째 군집에 비해 낮았다. (2) 주성분 분석을 통해 87.34%(첫번째 군집)와 90.14%(두번째 군집)의 분산(total variance)을 해석할 수 있었다. 첫번째 군집과 두번째 군집에서 각각 3개와 2개의 주성분을 추출하였다. 첫번째 군집의 3개 주성분은 각각 44.77%, 21.62%, 20.95%의 총변량(total variance)을 해석할 수 있었고 두번째 군집의 주성분은 각각 74.32%와 15.82%의 총변량을 해석할 수 있었다. (3) 첫번째 군집 수체의 제1 주성분은 주로 하천의 유입 및 농업 오염에서 유래하였고 제2 주성분은 주로 유역에 위치한 가축 양식에서 유래하였으며 제3 주성분은 생활 오수에서 유래한 유기질 오염물이었다. 두번째 군집 수체의 제1 주성분은 주로 육지 배출구 및 농업에서 유래한 오염이었다. (4) 샤먼만 해역 수질 오염제어의 중점은 육지성 오염물의 유입을 관리하는 것이다. 육지 배출구의 오염 배출에 대한 관리를 강화하는 동시에 지우룽장, 퉁안만 동부 하천 및 퉁안만 서부 하천의 유역을 종합적으로 다스려야 한다. 또한 인류 활동에 따른 하천 및 해역 생태계에 대한 간섭을 줄여야 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105010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water quality,spatial variability,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source apportionment,Xiamen Bay,수질,공간적 변이 특성,다변량 통계분석,발생원 추적,샤먼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