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ZHANG, Hong,ZHAO, Dan,HE, Rui-rui,HUANG, Xin,FAN, Ya-ping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5-01-01 |
초록 |
2상 조기 후탈분극(EAD, early afterdepolarizations)은 심근 세포(myocardial cell)가 2상 재분극(phase 2 repolarization) 기간에서 발생한 막 전위(membrane potential) 진동이다. 단세포 실험을 통하여 2상 EAD의 존재를 증명하였지만, 조직에서의 특성 및 전기 안정성(electric stability)과 심실 빈맥(VT, ventricular tachycardia)/심실세동(VF, ventricular fibrillation) 행위에 미치는 영향의 존재 여부에 대하여 충분한 인식이 부족하다. 본 연구는 Luo-Rudy 단세포 이온 통로 수학적 모델을 기반으로 Ca 2+ 전류 최대 전도율(maximum conductance)과 K + 전류 게이팅 변수(gating variable)의 제어를 통하여 2상 EAD를 얻었다. 이를 토대로 국부적 EAD 특성이 있고 400x400개 세포를 포함한 2차원 이질성 조직(2D inhomogeneous tissue) 모델을 구축하였다. 연산자 분열(operator splitting) 방법을 사용하여 조직 모델을 해결하였으며, 크로스 필드 방법(cross field method)을 이용하여 전기 재진입(reentry)을 유도하고 나선형 파(spiral wave)를 형성하였고 EAD가 나선형 파 동역학 패턴(pattern) 안정성에 대한 영향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2상 EAD는 나선형 파의 불안정성을 촉진하고 절단과 파쇄 작용을 발생하며, 이러한 전환의 발생은 EAD 영역 면적과 위치와 관련되고 중심 부분 크기가 20x20의 EAD 영역에서 나선형 파를 쉽게 붕괴할 수 있다. 여러 개의 EAD 영역이 존재할 때 나선형 파의 불안전성과 붕괴를 더욱 악화시키고 더 혼란스러운 전압 패턴(voltage pattern)을 형성한다. 국부적 2상 EAD가 초래한 불응기 분산(refractory period dispersion)은 나선형 파 붕괴를 촉진하는 주요한 메커니즘이다. 2상 EAD는 심실 빈맥이 심실세동으로 전환하는 것을 촉진하는 작용이 있고 임상 방면에서 2상 EAD의 출현을 방지하여 이로부터 발생하는 악성 부정맥(malignancy arrhythmia)을 줄였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2302458 |
첨부파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