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Retinoic acid(RA)는 피부과 영역에서 여드름의 치료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임신 모체에 다량 노출되면 태아의 머리얼굴부위를 포함한 옴의 여러 장기에서 기형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는 약제이다. 특히 입천장의 발생파정에서 RA는 상피세포와 간엽세포의 분화에 직정적인 영향을 주어 입천장틈새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미세구조의 변화에 관한 보도는 드물다. 이에 연구자는 정상 적인 입천장발생과 비교하여 RA를 투여 받은 흰쥐태아에서 입천장돌기 상피세포와 입천장돌기 내 간엽세포에 서 미세구조의 변화를 관창하고자 본 실험을 시행하였다 온 실험에서는 체중 200gm 내외의 Sprague-Dawley계 암수 흰쥐를 교배시켜 임신된 태아를 실험동물로 사용하였다. 실험군은 임신 제10일에 100mg/kg의 RA(Sigma Co.)를 olive oil에 녹여l회 경구 투여하였고, 대조 문에는 olive oil을 경구 투여하였다. 입천장돌기가 융합되지 않은 시기인 임신 제14일의 태아흰쥐와 입천장돌기가 융합한 제16일의 태아에서 입천장돌기를 적충하고 전자현미경용 조직표본을 제작,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l. 대조군 입천장상파는 태영 재14일에는 두 층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RA 투여군에서는 세포가 증식된 소견을 보였다 태령 제16일 대조군에서 정중융합선상과 구강상피가 인정한 지역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자사세포가 많이 관창되었으나 RA 여문에서는 입천장돌기가 융합되지 않았고 중층의 상피세포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세포자멸은 거의 관찰되지 않았고 괴사중인 세포가 관창되었다. 2. 대조군 입천장돌기 내중간엽세포 (mesenchymal cell)는 세포외기질을 향하여 돌출된 세포줄기와 난원형의 핵이 관찰되었고, 세포질 내에는 잘 발달된 과립세포질세망(rough endoplasmic reticulum), Golgi 복합체와 사립체가 관찰되었다. RA 투여군에서는 수조가 극도로 위축된 Golgi 복합체와 수조가 단절 및 낭상화되거나 ribosome이 탈략된 과립세포질세망과 이중막이 파괴되고 사립체능선이 용해되거나 종장된 사렵체가 관찰되었으며 뭇소 포체와 같은 이차용해소체와 당원과립이 세포질 전반에 경쳐 산재된 소견을 보였다. 이상의 경과를 종항하면 RA를 투여받은 발생 중인 입천장돌기의 상피세포에서는 대조군과 달리 세포자멸이 거의 관찰되지 않았고, 중간엽세포에서는 세포내소기관이 극도로 손상받은 소견을 나타낸 바 RA는 중간엽세포에 직접적인 독성으로 작용하여 입천장틈새를 유발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특히 입천장상피에서 세포자멸이 거의 관창되지 않는 것은 RA가 입천장의 정상발생에 필수적인 과정인 세포자멸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