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부영양화된 한강기수역에서의 용존산소 및 $NH_4{^+}$ 제거에 있어 조석의 영향 및 질산화의 중요성을 이해하고자 1995년 7월에 강화도 남단에서 만조, 중조 및 소조 시에 해수시료를 채취하였다. 수온과 DO를 제외한 하계 한강기수역의 생물, 화학적 환경을 결정짓는 요인들이 담수의 유입과 수역 내의 심한 조석 변화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석상태에 따른 용존산소 및 $NH_4{^+}$ 의 제거율은 만조 시 각각 2.76 ${ mu}M ;O_2 ;d^{-1}$ 및 1.76 ${ mu}M ;N ;d^{-1}$ 이며, 간조 시 각각 5.66 ${ mu}M ;O_2 ;d^{-1}$ 및 3.36 ${ mu}M ;N ;d^{-1}$ 로 최대로 나타나 간조 시 담수와 함께 유입되는 다량의 각종 유기물 및 무기영양염에 대한 미생물의 분해 및 흡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NH_4{^+}$ -질산화는 간조 시 총 DO 소모량의 약 24%를 차지하며 $NH_4{^+}$ -질산화에 의한 $NH_4{^+}$ 의 회전율도 0.18 $d^{-1}$ 로 만조 때에 비해 각각 3.7배 및 3배 높게 나타나, 담수성 $NH_4{^+}$ -질산화 박테리아가 간조 시 한강기수역으로 유입되면서 DO 및 $NH_4{^+}$ 의 소모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만조 시 $NH_4{^+}$ 감소율 및 $NH_4{^+}$ -질산화가 낮은 것은 염분증가에 따른 담수성 $NH_4{^+}$ -질산화 박테리아의 활성이 위축되어 나타난 결과로 보이며, 이상의 결과들은 한강기수역에서 $NH_4{^+}$ 의 효율적인 생물학적 제거를 위해서는 $NH_4{^+}$ 를 포함하는 각종 오 폐수가 기수역으로 유입되기 이전에 처리됨이 바람직함을 의미한다. 향후 한강기수역과 같은 대규모 담수의 유입이 일어나는 부영양화된 기수역에서 질소계 원소의 순환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NH_4{^+}$ 및 $N0_2{^-}$ 를 유일한 화학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 자가영양 질산화 박테리아에 대한 생태적 연구가 병행되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