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XIA, Jiang-bao,ZHANG, Shu-yong,WANG, Rong-rong,ZHAO, Yan-yun,SUN, Jing-kuan,LIU, Jing-tao,LIU, Qing |
초록 |
토양 입경(soil particle) 질량 분포 원리와 프랙탈 이론(Fractal Theory)을 이용하여 중국 황허삼각주(Yellow River Delta) 베이커티섬(Shell Island)의 3가지 식생유형을 연구대상으로, 나지(bare land)를 대조군으로, 토양 입경의 프랙탈 차원(fractal dimension), 입경 구성과 수분의 물리적 파라미터를 측정하고 분석하였으며, 서로 다른 식생 유형의 토양 입경 프랙탈 특성 및 그 영향 요소를 탐구하였다. 탐구결과, 패각사(shell sand) 토양 중 거친 모래 입경의 함량은 제일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가는 모래(fine sand) 입경이고, 암쇄물(rock fragment)과 실트(silt) 및 점토(clay) 함량은 비교적 낮았다. 관목임지와 초지는 암쇄물, 거친 모래 입경을 감소시키고 가는 모래 입경과 실트 및 점토 함량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갖고 있다. 서로 다른 식생 유형의 토양 입경 프랙탈 차원 평균치는 1.5845-1.9157 사이에 있으며 크기는 순서대로 Z. jujuba var. spinosa Hu, Periploca sepium Bunge와 초지이고, 표면층은 20-40cm 토양층보다 높았다. Z. jujuba var. spinosa Hu, Periploca sepium Bunge와 초지의 토양용적밀도(Soil bulk density) 평균값은 나지보다 각각 23.87%, 14.51%와 10.47% 낮았다. 총 공극률(permeability) 평균값은 나지보다 각각 16.96%, 16.71%와 1.31% 증가하였다. 식생 복원 대책은 패각사 표층의 공극구조, 푸석한 정도에 대해 비교적 양호하게 개선하였으며, 초지 및 관목임지의 수분저장 성능은 0-20cm가 20-40cm보다 높았다. 토양 입경의 프랙탈 차원은 실토 및 점토 함량, 모세관 공극률(capillary porosity), 총 공극률, 포화 함수량(Saturated water content), 수착 수분저장량(Sorption storage capacity) 등과 극히 현저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가는 모래 입경 함량과 현저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거치 모래 입경 함량과 토양용적 밀도와는 극히 현저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암쇄물 함량, 비모세관 공극률, 저류 수분저장량(Detention storage)과의 상관관계는 크지 않았다. 토양의 프랙탈 차원 및 그 수분 생태 특성으로부터 볼 때, 페이커티섬의 3가지 식생 유형의 개선은 토양 물리적 성질과 수분저장량 유지 기능에서 관목임지가 초지보다 우위적이고 그 중 Z. jujuba var. spinosa Hu가 Periploca sepium Bunge보다 우위적이며, 0-20 cm가 20-40 cm보다 우위적이라는 것을 나타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