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FENG, Shu-zhen,SU, Yi-rong,QIN, Xin-min,XIAO, Wei,GE, Yun-hui,HE, Xun-yang |
초록 |
광시 환장현(Guangxi Huanjiang County)의 karst-cluster 침하지역(epression area)에서 풀숲(T), 관목숲(S), 원생림(PF)(중간 경사지) 등 다양한 식생 유형과 원생림의 상부 경사지, 중간 경사지, 하부 경사지 등 다양한 경사지를 선택한 후, 토양 층위에 근거하여 세탈층(eluvial horizon, A층, 0-10 cm), 과도층( transition layer, AB층, 20-30 cm, 풀숲과 관목숲; 30-50 cm, 원생림), 퇴적층(deposited layer, B층, 70-100 cm) 샘플을 수집하였으며, 토양 미생물 바이오매스 탄소(soil microbial biomass carbon, SMBC), 질소(soil microbial biomass nitrogen, SMBN), 미생물 탄소 지수(ratio of SMBC to soil organic carbon, qMBC), 질소 지수(ratio of SMBN to soil total nitrogen, qMBN), 토양 기초 호흡(soil basic respiration, SBR) 및 대사 지수(microbial metabolic quotient, qCO 2 )의 단면 분화(profile differentiation) 특성 및 그 영향 요소를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식생과 토양층 깊이는 토양 미생물 바이오매스 및 기초 호흡에 뚜렷한 영향을 미쳤으며, 식생 복원과 더불어 SMBC, SMBN, SBR은 풀숲, 관목숲, 원생림 순으로 증가하였으며, 토양 층위가 깊을 수록 감소하였으며, 3가지 식생 유형의 qCO 2 은 뚜렷한 차이가 없었으며, T gt;PF gt;S 순이었다. 원생림 A층의 SMBC, SMBN은 각 경사지에서 모두 AB층, B층에 비해 뚜렷하게 높았으며, A층의 SBR은 하부 경사지에서 상부 경사지로 가면서 점차 감소하였으며, AB와 B층의 상부 경사지, 하부 경사지 간에는 뚜렷한 차이가 없었으며, 각 경사지의 qCO 2 은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P gt;0.05). SMBC와 SMBN은 뚜렷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r=0.825, P lt;0.01, n=45), SMBC, SMBN, SBR은 각각 유기탄소, 총 질소, 알칼리 분해성 질소와 뚜렷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그러므로, 식생 복원과 더불어 토양 질량은 뚜렷하게 개선되었으며, 경사지가 A층 토양에 미치는 영향은 AB층과 B층에 비해 더 뚜렷하였다. 토양 미생물 제어에 필요한 토양 영양분 순환 기능을 유지하는 것은 토양 질소 영양분과 토양 유기질을 제어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중요하였는데, 이는 카르스트 합리한 생태 복원 조치를 제정하는데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