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특허 실용신안

특허/실용신안

액상의 조미액과 액상의 조미액에 배추를 침지시켜서 만든 속없는 김치의 제조방법

특허 실용신안 개요

기관명, 출원인, 출원번호, 출원일자, 공개번호, 공개일자, 등록번호, 등록일자, 권리구분, 초록, 원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출원인 신상철
출원번호 10-1994-0005165
출원일자 1994-03-16
공개번호 20080509
공개일자 1997-11-15
등록번호 10-0121304-0000
등록일자 1997-08-26
권리구분 KPTN
초록 본 발명은 액상의 조미액과, 액상의 조미액에 배추를 침지시켜서 만든 김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무우채, 고추가루, 다진마늘, 다진생강, 파 어류젖 즉, 새우젓, 황새기젖, 꼴뚜기젖, 갈치젖 등의 재료를 카롤 썰거나 다지는 등의 방법으로 배추속을 만든 다음, 저려진 배추 입사귀를 한겹 한겹씩 펼쳐가면서 배추속을 손으로 버무려 넣게된다. 이와같이 김치를 담그는 재래식 방법은 배추처럼 작업에서부터 속 버무림 작업까지 일일이 사람의 손으로 실시해야만 하지만, 그나마도 김치담그는 방법을 모르거나, 전수받지 못한 사람은 실시할수 없는 어려움이 있다. 그만큼 재래식 김치를 만드는 방법은 복잡하고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그 작업 자체가 여성들에게는 매우 심한 노동이어서 주부들은 김치담는 일을 매우 부담스러워 하고 있다. 특히, 김치 담그기를 어려워하는 이유중에 또 하나의 문제는 김치를 담그는 작업과정에서 대부분은 고무장갑을 사용하나, 양념이 손에 묻혀지면서 통증등의 부작용이 발생되기 때문에 담그기를 기피하게 된다. 또한, 미생물에 오염된 양념을 사용하게 되므로 비위생적 식품을 먹게되는 문제와, 일반 농산물의 불균일한 품질로 제품의 균일화를 이루기 어려운 반면에 과다한 인력낭비를 초래하게 되므로 김치 담그는 일에 많은 어려움이 수반되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재래식 김치를 담그는 방법과는 달리, 소금에 저려진 배추를 액상의 김치 조미액에 담궈두기만 하면, 김치담그는 방법을 모르는 사람이라도 누구나 손쉽게 담글수 있게 하는 김치 조미액을 제공하려는 것으로써, 속없는 김치를 만들어 먹을수 있도록 안출된 것이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KPTN&cn=KOR101994000516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IPC분류체계CODE,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IPC분류체계CODE A23L-001/212,A23L-001/218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