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인간 유방암의 특징 중 하나는 암 줄기세포성인데, 이는 자기개조 능력 및 약물 저항성으로 특징지어진다. 단백질 카이네이즈 D1 (PRKD1)은 많은 세포 과정의주요 조절자로서 기능하며 침윤성 유방암세포에서 저하조절된다. 본 발명은 PRKD1이 약물 저항성 특징이 있는 MCF-7-ADR 인간 유방암 세포에서 상향조절됨을 밝혔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miR-34a가 PRKD1 3'-UTR에 결합함으로써 PRKD1 발현이 음의 방향으로 조절됨을 밝혔다. MCF-7-ADR 세포에서 PRKD1 발현은 종양구 형성분석 수행 이후 증가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또 유방암 줄기세포에서 전위 miR-34a발현 또는 PRKD1 siRNA 처리에 의한 PRKD1 감소가 자기개조 능력을 억제함을 밝혔고, 나아가, PRKD1 저해제 CRT0066101이 인산화된 PKD/PKCμ를 감소시켜, GSK3/β-카테닌 신호전달을 통하여 유방암 줄기세포성을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MCF-7-ADR 세포에서 PRKD1 저해는 또한 세포자기사멸 개시에 영향을 주었다. miR-34a 또는 CRT0066101로 처리된 누드 마우스의 종양에서는 종양 성장, 증식 및 유도된 세포자기사멸이 억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새로운 miR-34a의 표적인 PRKD1 조절이 인간유방암에서 암세포 줄기성 및 약물 저항성을 극복하는데 기여할 것임을 입증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