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 연구개요 ● 안정적인 수신함수 계산을 위한 효과적인 데이터 처리 방법론 고안 및 지진 데이터에 적용 ● 한반도 및 지질학적으로 특별한 지역 하부의 지진학적 구조 산출 ● 연구 지역 암석권 성질의 특이성 및 전 지구적 보편성 탐색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본 과제에서 제안한 방법론 및 추가적으로 개발된 방법론에 대한 기술, 지진 데이터 적용 결과 및 해석에 대한 논문이 발표됨. ① 수신함수 통한 한반도(제주도) 심부 구조 연구 2021년 게재 논문: “Seismic crustal structure beneath Jeju Volcanic Island, South Korea from teleseismic P-receiver functions” (Geophysical Journal International 저널에 게재됨.) ② 토모그래피 기법 통한 캐롤라인 해양판의 심부 구조 연구 2021년 게재 논문: “A possible roll-over slab geometry under the Caroline Plate imaged by Monte Carlo waveform inversion of teleseismic SS phases” (Frontiers in Earth Science 저널에 게재됨.) ③ 섭입대에서의 느린 지진 발생 연구 2021년 게재 논문: “Role of warm subduction in the seism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forearc mantle: an example from Southwest Japan” (Science Advances 저널에 게재됨.) ④ 미국 캘리포니아 고밀도 지진 자료를 통한 Lg Q 구조 연구 2022년 게재 논문: “Spatial variation and frequency dependence of Lg wave attenuation with site response correction along the CCSE array in Central California” (Geochemistry Geophysics Geosystems 저널에 게재됨.)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본 연구를 통해 한반도 암석권의 특성을 규명하고 동아시아 및 전 지구적 암석권의 특성과 비교함으로써 한반도가 지니는 특별함 및 보편성을 모색하였다. 각 지진 관측망 자료에 최적화된 방법론과 분석 결과는 지진학/지구물리학 분야 상위 5~20%에 해당하는 해외 저널에 게재되어 연구의 우수성이 입증되었다. 본 연구는 향후 한반도 지진 관측망 설치를 대비하는 측면이 있으며, 해외 자료에 적용할 수 있는 기회로도 이어질 수 있다. ●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모델은 한반도 형성에 관련한 판구조론을 뒷받침하는데 핵심이 된다. 지진학적 데이터 분석을 통해 구조지질학적・지구동력학적 해석을 유도하는 것은 새로운 시도로, 국내 지진 연구의 범위를 확장시킨다. ● 본 연구에서 개발될 방법론은 잡음이 심하고 가용 데이터양이 제한적인 해저면 지진계 자료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해저는 높은 파고에 의한 수압의 변화가 생기고, 이는 해저 변형을 수반하기 때문에 잡음이 매우 심한 환경이다. 육상의 경우 암석권의 구조가 복잡할 수 있지만, 해양에서의 암석권은 열냉각 등에 의해 비교적 단순하고 체계적으로 변화할 것을 예상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방법론을 통해 이미 획득된 자료를 다각도로 처리하여 데이터에 숨겨진 의미 있는 신호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해양과학조사선을 활용하여 동해에 설치될 해저 지진 관측망을 대비하는 측면을 지닌다.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