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 최종목표 : 도시생태계 맞춤형 모듈 및 패키지 기술 개발을 통한 Bio+ City 구현 ● 세부목표 - 도시생태계 회복력 향상 계획 수립을 위한 취약성 대응 및 회복력 향상 평가 - 생물다양성숲 모델 및 생물종 생애주기 맞춤형 서식공간 모듈화 기술 개발 - Bio+ Building 시스템 및 모듈형 제품 개발 - Bio+ LID 모듈 기술 개발 - 도시생태계 맞춤형 시스템 및 패키지화 기술 개발 - 도시생태계 회복력 증진 정책 제안 및 가이드라인 작성 ○ 전체 내용 ● Bio+ City 도시생태계 취약성 대응 및 회복력 향상 평가 - 공간별 요구기능 및 취약성 분석을 통한 수요자 중심 최적 시나리오 도출 - 공간분석 기반 도시생태계 기능 및 공간별 회복력 향상 ● 생물다양성숲 모델 및 생물종 생애주기 맞춤형 서식공간 모듈화 기술 개발 - 생물다양성 숲 모델 수립 - 생물종 생애주기 맞춤형 서식공간(BirdNest, EcoTrench, BugHouse) 모듈화, 시제품 제작 ● Bio+ Building 기술 개발 - 옥상 및 벽면 생물서식지화 기술 및 미세먼지 저감시스템 개발 - IoT기술을 이용한 식물 유지관리시스템 도입 ● Bio+ LID 개발 - 도시생태계 물질순환 향상을 위한 빗물침투 모듈 설정 - 지역, 패턴별 물순환 시스템 개발, 정량데이터 기반 가이드라인 제시 ● 시나리오 대응 도시생태계 회복력 증진 정책 제안 - 도시생태축 회복력 증진계획 및 Bio+City Network 구축 - Test bed 대상 「Bio+City 회복력증진계획(안)」 마련 ● 가이드라인 제안 및 패키지화 기술 개발 - Test bed 대상지 선정 및 테스트베드 조성기술 검토, 회복력 향상 효과 검증 - 각 시스템 기술 통합 도시 맞춤형 모듈 및 패키지화 기술 개발 □ 연구개발성과 ● 국내·외 특허등록 총 12건, 신기술 외 기술 및 제품인증 6건 등 기술개발 성과의 실용화 극대화 - 국내 특허출원 9건, 국내 특허등록 9건, 국외 특허출원 3건, 국외 특허등록 3건, 신기술 외 기술 및 제품인증 6건 - 도시 내 적용가능 시제품 제작 9건, 과제수행을 위한 고용창출 1건, 시제품을 통한 국내 매출 실적 20건 ● 연구개발성과의 정책 및 가이드라인 발전, 전문인력 양성 및 국내외 네트워크 강화 - 도시생태계 회복력 증진 정책제안 1건, Bio+ City 구현가이드라인 작성 및 발행 1건 - 전문연구 인력양성 3건, 국내 언론매체를 통한 기술 개발 및 도시생태계에 대한 홍보 5건 ● 기술개발 성과를 뒷받침할 수 있는 SCI 및 KCI급 국내외 학술지 발표 총 17건 등 연구개발성과 확산 병행 - SCI학술지 7건, 일반학술지 10건 - 국제학술 회의 개최 2건, 국내 학술회의 발표 19건, 국외 학술회의 발표 7건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지역적 도시생태계 특성에 맞는 취약성 대응 및 회복력 향상 평가를 통한 과학적 증거기반 계획 수립 - 시나리오 기반 성능 평가를 통해 공간계획 의사결정자료 활용 - 패키지화 기술을 통해 현장과 유사한 데이터를 토대로 취약성 및 회복력이 평가 가능 ● 생태기능이 보완된 인공지반녹화·LID 기술 개발로 전 도시공간의 생태적 활용 및 생물다양성 향상 - 도시 생태공간의 환경가치 상승과 생태공간에서 창출되는 생태계서비스의 양적 증대 - 정책 및 가이드라인 확대 적용을 통한 도시민과 생물이 공존하는 Bio+ City 구현 ● 도시생태계 분야 비즈니스 모델 창출로 국내외 높은 시장 선점효과 기대 - 도시생태계를 고려한 생물다양성 및 생태복원 기술 및 시장 확대로 과제종료 5년 후 국내 340억원, 국외 5천만 달러 매출액 달성 기대 - IoT 연계 모듈 및 패키지로 조성된 Bio+ Building/LID 기술 확대로 도시생태공간 유지관리 비용 절감 (출처 : 요약문 3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