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한림원의 과학기술 정책연구·자문사업의 활성화 방안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22-12-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연구책임자 정선양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점차 증가하고 있는 과학기술정책의 중요성 및 각 부처의 관련 의사결정의 합리성을 제고하기 위한 정책연구 및 자문기관의 중요성이 절실함 ●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은 우리나라 과학기술정책연구 및 자문에 가장 적합한 기관 중의 하나임 - 실제로 한림원의 핵심 기능은 정부에 대한 과학기술정책의 연구 및 자문인데, 그동안 이 기능이 활성화되지 못한 것도 사실임 ● 일부 회원은 우리나라에 이미 STEPI와 KISTEP과 같은 기관이 있기에 한림원의 정책연구 및 자문활동이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하지만, 이것은 한림원의 정체성 및 존폐와 관련된 아주 잘못된 생각임 - 한림원은 법적, 정관에 따른 대정부 정책연구와 자문의 미션을 충실히 수행하여야 할 것이며, 이것이 한림원의 존재 이유임 ● 한림원이 수행하여야 할 정책연구와 자문활동은 적어도 다음의 차별성을 가져야 할 것임 - 먼저, 한림원의 정책연구와 자문은 범부처적 과학기술 주제(Multi-ministerial S&T topics)를 다루어야 할 것임 - 둘째, 한림원이 수행하여야 할 정책연구 및 자문사업은 미래지향적 과제(Futureoriented topics)의 연구인데, 이에 우리의 미래가 달려 있고 아직 다가오지 않은 미래에 대한 과학기술적 대응은 고도의 전문적 식견을 필요로 하기 때문임 - 마지막으로, 한림원이 수행하여야 할 정책연구와 자문사업은 과학기술에 기반한 주제(S&T-based topics)이어야만 함: 그런데 기술혁신연구의 구루인 Freeman(1992)이 주장하였듯이 현대의 거대 도전과제, 사회적 문제 해결, 경제발전, 환경문제 등의 대응은 과학기술에 기반을 두고 있음 ● 본 연구에서는 주요국의 최근 과학기술정책의 현황을 살펴보고 한림원이 핵심역량을 바탕으로 어떤 정책연구와 자문사업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인가에 관한 정책 어젠다를 발굴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음 2. 주요국의 과학기술정책 1) 미국 ● 바이든 정부는 과학기술정책 주요 이슈로 니치(NICHE)를 다음과 같이 선정하여 지원해 오고 있는데, 여기에서 N은 Next COVID-19, I는 Industrial Innovation, C는 Competition between US-China, H는 Human Resources, E는 Energy & Climate Change로서 이는 바이든 정부의 주요 과학기술정책 이슈임 ● 특히 ‘미국경쟁법’에서는 특별하게 지원할 10대 첨단기술 분야를 선정하였는데, 이는 세부적으로 ① 인공지능, 머신러닝 및 기타 소프트웨어 첨단화, ② 고성능 컴퓨팅, 반도체 및 첨단 컴퓨터 하드웨어, ③ 양자 컴퓨팅 및 정보 시스템, ④ 로봇, 자동화 및 첨단 제조, ⑤ 자연 및 변화된 생태 재해예방 또는 완화, ⑥ 첨단 통신기술, ⑦ 생명공학, 유전체학 및 합성생물학, ⑧ 사이버보안, 데이터 스토리지 및 데이터 관리기술, ⑨ 첨단 에너지, 배터리 및 산업 효율, ⑩ 첨단 재료 과학, 엔지니어링 및 탐사기술임 2) 독일 ● 독일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체계적인 과학기술정책을 추진해 오고 있으며 우리나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비슷한 연방교육연구부(BMBF)에 의해 주도되어 오고 있음 ● 독일의 과학기술정책은 이 부처를 중심으로 범부처적 과학기술정책을 추진해 오고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음 - 독일 연방정부는 2005년부터 “첨단기술전략 프로그램(Hightech Strategie Program)”을 운영해 오고 있는데, 이 프로그램은 독일 연방정부의 과학기술정책 전반을 포괄하고 있음 - 이 프로그램은 제1기에서는 경제발전을 지향해 왔으나 횟수를 거듭할수록, 특히 3차와 4차 프로그램에서는 인간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학기술정책을 범부처적으로 추진하는 데 주안점을 두어 오고 있음 ● “제4차 첨단기술전략 프로그램”에서는 과학기술정책의 슬로건을 “인간을 위한 과학기술”을 표방하며 과학기술정책의 주안점을 거대한 사회적 문제 해결에 두고 노력해 오고 있음 - 여기에서는 3대 지원 분야의 12대 세부 과제를 지원하고 있는데, 가장 중요한 지원 분야는 거대한 사회적 문제 해결이고, 여기에는 ① 건강과 보건, ② 지속가능한 발전, 기후보호, 에너지, ③ 미래지향적 이동성, ④ 도시와 지방, ⑤ 안전, ⑥ 경제노동 4.0 등 6대 세부 과제를 제시하고 있음 ● 독일 과학기술정책의 두 번째 지원 분야 중 첫 번째의 세부 분야는 독일의 과학기술적 기반의 구축 분야로서, 이는 독일 연방정부가 중점적으로 지원하고 있는 과학기술 분야를 나타내 주고 있음 - 세부 과학기술 분야는 ① AI, ② 고성능 컴퓨팅, ③ 통신 시스템, ④ 전자 및 전자시스템, ⑤ 인간-기술 상호작용, ⑥ 새로운 소재 및 재료, ⑦ 배터리연구, ⑧ 양자 시스템, ⑨ 우주와 재료연구, ⑩ 연구 하부구조, ⑪ 핵융합연구 등을 도출하여 중점 지원하고 있음 3) 영국 ● 영국의 최근 과학기술정책 방향은 기본적으로 ① 첨단산업 육성과 확보, ② 기후변화 및 위기(재난재해) 대응과 미래 에너지기술 강화, ③ 다각적으로 변화하는 사회에 빠르게 대응하는 것임 ● 최근 발표된 영국 정부의 과학기술혁신 부문의 주요 목표는 ① R&D 시스템 강화, ② 최고 인재의 유치 및 육성, ③ 민간 부문의 연구개발 투자 활성화, ④ 영국 전역의 과학기술 수준 향상 지원 등임 ● 영국 정부가 중점 지원하고 있는 과학기술 분야는 ① 첨단소재 및 제조, ② AI, 디지털 및 고급 컴퓨팅 기술, ③ 생물정보학 및 유전체학, ④ 공학생물학, ⑤ 전자, 광자 및 양자, ⑥ 에너지 및 환경기술, ⑦ 로봇 공학 및 스마트 기계 등임 4) 프랑스 ● 프랑스는 ‘제4차 미래투자 프로그램(PIA 4)’을 바탕으로 수소 부문, 사이버보안, 양자기술, 디지털 교육 등 4대 국가발전전략이 추구되고 있으며, 이들 분야에서 11개 세부 분야에 대한 집중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음 ● 이들 11개 세부 분야는 ① 건강한 음식, ② 생태적 전환에 기여하는 지속가능한 농업 시스템 및 농업장비, ③ 재료의 재활용 및 재통합, ④ 지속가능하고 탄력적 도시를 위한 해결책, ⑤ 산업의 탈탄소화, ⑥ 프랑스 문화 및 창조산업, ⑦ 모빌리티의 디지털화 및 탈탄소화, ⑧ 디지털 보건, ⑨ 생물요법과 혁신적 요법의 바이오 생산, ⑩ 바이오 기반제품 및 산업 생명공학, ⑪ 5G와 미래통신 네트워크 등임 5) 일본 ● 일본 정부는 2022년에 중점 투자해야 할 기술로 AI, 바이오를 선정하고 관련 전략 및 정책적 자원을 투입하고 있음 - 아울러 최근의 미・중 기술패권 경쟁 등에 따른 반도체 공급망 강화와 첨단기술의 개발 및 보호를 위해 일본 정부는 「경제안전보장추진법」을 제정하여 관련 사업을 체계적으로 추진해 오고 있음 - 또한 일본의 과학기술정책 슬로건은 ‘Society 5.0’으로 이 개념은 사회적 문제 해결에 많은 주안점을 두고 있음 ● 일본이 주안점을 두고 있는 이 분야의 세부 기술 분야는 의료・복지, 제조업 특히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 강화, 지역활성화, 환경・에너지, 동일본대지진 문제의 해결 등에 노력하고 있음 ● 일본은 사회적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을 오랜 기간 추진해 왔는데 대표적인 것이 2013년부터 추진한 ‘문샷(Moonshot) 프로그램’임 - 이 프로그램은 저출산・고령화 대응, 대규모 자연재해 대응, 지구온난화 문제 해결 등 직면하고 있는 난제에 대하여 과학기술을 통해 해결한다는 취지에서 시작되었음 6) 중국 ● 최근 중국의 중점 과학기술 지원 분야는 ① 디지털 경제화 정책, ② 에너지 및 저탄소 발전정책, ③ 전략적 신흥산업 육성, ④ 지역혁신정책 등에 집중되어 있음 ● 중국 정부의 중점 과학기술 분야는 ‘전략적 신흥산업 육성’과 깊이 관련이 있는데 이 전략은 ‘14차 5개년 계획’ 기간 동안 추진할 중점 분야와 미래 기술패권을 쟁취할 중점 분야로 나누어지는데, 세부적인 기술 분야는 다음과 같음 - 전자와 관련하여, ① 차세대 정보기술, ② 신에너지, 신소재, 고급 장비, ③ 신에너지 자동차, ④ 그린 환경보호, ⑤ 항공우주, ⑥ 해양 장비, ⑦ 바이오기술과 정보기술의 융합, ⑧ 바이오의약, ⑨ 바이오육종, ⑩ 바이오소재, ⑪ 바이오 에너지 등임 - 아울러 미래의 기술패권을 확보하기 위한 분야로는 ① 뇌모방 지능, ② 양자정보, ③ 유전자기술, ④ 미래 네트워크, ⑤ 심해 및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230001452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