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침의 미주신경-뇌 네트워크(Vagus nerve-brain network) 조절기전 연구: 신경병증성 통증과 우울증 병합모델을 중심으로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23-03-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대전대학교
연구책임자 박지연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연구개요 본 연구는 미주신경-뇌 네트워크(Vagus nerve-brain network) 조절기전 분석을 통하여 신경병증성 통증과 우울증 병합 모델에서의 침의 치료기전을 규명하고, 그 작용기전을 연구하였음. 이를 통해 기존 단편적으로 연구되었던 침 진통 및 우울증 치료 기전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침 치료의 과학적 근거를 마련하였으며, 임상 활용성이 높은 침 치료법을 확립함.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1) 신경병증성 통증과 우울증 병합모델 확립 및 치료 경혈조합 도출 - 좌골신경 결찰술(partial sciatic nerve ligation)과 reserpine 투여를 병합하여 신경병증성 통증-우울증 병합모델을 확립하고, 족삼리(ST36), 삼음교(SP6)를 치료 경혈조합으로 도출함. (2) 통증-우울증 병합 모델에서 침의 치료효과 규명 및 뇌 네트워크 기전 분석 - 신경병증성 통증-우울증 병합모델에 10일간의 족삼리(ST36), 삼음교(SP6) 침 치료는 동물의 통증 행동 및 우울 행동을 유의하게 개선하였으며, 대뇌의 Paraventricular nucleus (PVN)와 Periaqueductal gray (PAG)부위에서의 뇌신경 반응성을 유의하게 증가함. 변화된 부위 중 Anterior cingulate cortex (ACC)는 다른 대뇌 부위들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임. (3) 침의 통증-우울증 조절 기전에서 미주신경의 역할 규명 - 통증-우울증 병합모델에서 좌/우 경동맥 및 횡경막 미주신경 차단(LCV, RCV, TV)은 통증 및 우울 행동 개선에는 모두 효과가 없었으나, 미주 신경 차단 위치에 따라 통증 및 우울 행동변화 정도와 뇌신경 반응성 변화 정도가 다르게 관찰됨. - 통증-우울증 병합모델에서 침 치료의 통증 개선 효과는 미주신경 차단에 의해 조절되지 않았으나, 침 치료의 우울 행동 개선 효과는 미주신경 차단(LCV)에 의해 조절됨. - 통증-우울증 병합모델에서 침 치료에 의해 증가된 뇌신경 반응성은 미주신경 차단(LCV)에 의해 ACC, PVN, Hippocampus (CA1, CA3, DG) 및 Dorsal raphe nucleus (DRN)에서 감소됨. (4) Catecholamine 분석을 통한 미주신경-뇌 네트워크 작용 기전 규명 - 통증-우울증 병합모델에서 침 치료는 PVN, Lateral hypothalamus (LH), Arcuate nucleus, Substantia nigra (SN), dorsomedial PAG (DMPAG), dorsal DRN에서 5-HT1AR 발현 변화를 야기하였으며, Striatum (ST) 부위에서의 dopamine 농도, ST와 SN 부위에서의 TH 발현, Motor cortex에서의 Dopamine receptor 발현을 증가시킴. - 통증-우울증 병합모델에서 미주신경 차단(LCV)은 Prelimbic cortex, SN, DRN(lateral, ventral) 에서 5-HT1AR 발현, Mortor cortex (M1), ACC (Cg2), ST, PVN, LH, Hippocampus (CA1, CA3, DG), SN, Ventral tegmantal area, DMPAG, DRN (ventral), Nucleus of solitary tract에서 5-HT1BR 발현, ST에서 Dopamine transporter 발현을 조절함, - 통증-우울증 병합모델에서 침 치료에 의해 ST와 SN에서 증가된 TH 발현은 미주신경 차단 (LCV)에 의해 감소됨. (5) 광 유전학(Optogenetics)방법을 활용한 미주신경-뇌 네트워크 조절 기전 규명 - 통증-우울증 병합모델에서 침 치료의 미주신경-뇌 조절기전과 관련된 ACC 부위 파괴는 침 치료의 통증 개선 효과를 유의하게 차단하였으며, 우울 행동을 일부 차단함. - 광 유전학 방법으로 ACC 부위의 신경세포 활성을 직접적으로 억제한 결과, 침 치료의 통증개선 효과는 유의하게 차단되었으나, 우울 행동 개선 효과는 차단되지 않음. - 따라서 통증-우울증 병합모델에서 대뇌 ACC 부위는 침 치료의 통증 개선 효과를 매개하는 주요 부위로 작용함을 확인함. 연구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1)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미주신경-뇌 네트워크 조절을 통한 침 기전연구는 향후 침 연구 분야에 있어서 새로운 연구방법론으로 활용 가능하며, 침 치료의 과학적인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한의학-의학-신경과학의 상호 발전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 (2) 기대 효과: 1) 통증과 우울증 외에도 다양한 신경정신적 질환(파킨슨병, 인지장애, 수면장애 등)을 위한 치료기술 개발에 활용 가능함. 2) 뇌신경 조절 기전에 근거한 효과적인 침 치료법을 정립함으로써 침 치료에 대한 원천기술 확보가 가능하며, 침 치료의 임상 활용성 증대 및 환자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함. 3) 연구 수행을 통해 인력 양성에 기여함. (출처 : 요약문 2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230001045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