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 연구개요 1) 청정지역인 제주도 고산지역에서 대기 라돈(Radon-222) 모니터링 시스템을 운용하여 국내 배경농도(background level)를 측정하고 라돈 감시자료를 확보한다. 2) 대기 라돈과 미세먼지(PM10), 초미세먼지(PM2.5)의 시계열 변동특성과 기류 유입경로에 따른 농도변화를 비교한다. 3) 라돈과 미세먼지의 상관성, 장거리 이동(long-range transport) 특성을 조사하여 라돈을 중국발 오염물질의 수송 추적자(tracer)로 활용한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1) 대기 라돈(Radon-222) 농도 실시간 모니터링 (2019∼2021년, 3년간) - 중국과 가까운 제주도 서쪽의 ‘고산관측소’에 고감도 라돈모니터링시스템을 설치, 운용하여 3년간 대기 라돈 배경농도를 실시간(30분 간격)으로 모니터링하였음 - 대기 라돈 배경농도 측정 및 감시자료를 확보하고, 대륙기류의 이동(fetch) 분석, 미세먼지 농도와의 상관성 조사를 통해 라돈을 미세먼지 수송추적자로 활용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였음 2) 국내 배경지역 대기 미세먼지 모니터링 연구 (2019∼2021년, 3년간) - 제주지역(고산관측소, 대기집중측정소)의 미세먼지(PM10)와 초미세먼지(PM2.5) 실시간 측정자료를 수집하였음(2019∼2021년) - 황사, 고농도 연무 미세먼지 시료를 필터법으로 채취하여 화학조성을 분석하였고, 미세먼지의 오염특성과 2차오염물질 종류를 규명하였음(2020∼2021년) -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 수용성 이온성분(NH<sub>4</sub><sup><sup>+</sup></sup>, Na<sup>+</sup>, K<sup>+</sup>, Ca<sup>2+</sup>, Mg<sup>2+</sup>, SO<sub>4</sub><sup>2-</sup>,NO<sub>3</sub><sup>-</sup>, Cl<sup>-</sup>, F<sup>-</sup>, HCOO<sup>-</sup>, CH<sub>3</sub>COO<sup>-</sup>, CH<sub>3</sub>SO<sub>3</sub><sup>-</sup>등)을 Ion Chromatography로 분석하였고, 원소성분(Al, Fe, Ca, Mg, Na, K, S, Ti, Mn, Ba, Sr, Zn, V, Cr, Pb, Cu, Ni, Co, Mo, Cd 등)을 ICP-OES, ICP-MS로 분석하였음(2020∼2021년) - 납 동위원소(<sup>206</sup>Pb, <sup>207</sup>Pb, <sup>208</sup>Pb)를 ICP-MS법으로 분석하여 동위원소 비율을 조사하였음 -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 화학조성, 오염특성을 조사하였고, 중국발 미세먼지의 장거리 수송 특성을 평가하였음(2020∼2021년)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제주도는 일본과 중국의 중앙에 위치한 청정지역이라서 중국으로부터 한반도로 이동하는 오염물질의 영향을 비교, 평가하는데 적합함, 연구 결과는 중국에서 장거리 이동하는 대기오염물질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 - 국내 라돈 및 대기오염 배경농도 자료로 활용되며, 한반도의 대기질 관리, 동아시아 지역 대기질 개선 및 한‧중‧일 협력체제 구축을 증거자료로 활용 - 국내에서 연구가 부족한 대기 극미량 라돈을 모니터링하고, 국제 배경지역인 하와이 Mauna Loa, 호주 Cape Grim 등의 연구 결과와 비교, 평가할 수 있음 - 최근에 라돈을 대기오염물질 수송추적자로 활용하려는 대기화학 연구가 시도되고 있으며, 본 연구결과를 대기 미세먼지 장거리 수송 추적자 연구에 활용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