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연구개요 이 연구는 만성감염병 환자의 임상적, 사회경제적 필요를 파악하고, 이에 기반한 돌봄 관리 지원모델 개발을 위한 근거 창출을 목표한다. 구체적으로는 만성감염병인 결핵과 HIV 감염인들의 나이와 젠더에 따른 의료 이용 격차와 동반 질환의 격차를 확인하고, 코로나19 대응과 같은 다양한 공중보건정책이 실제 질병 관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양적연구와 질적 연구를 병행하여 국가 대표 자료원을 활용한 대표성 있는 근거 생성과 심층 면담을 통해 맥락적 장애요인을 파악한다.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1) HIV 감염은 의학적으로 완치는 불가능하지만, 적절한 항바이러스 치료를 통해 관리 가능한 단계에 접어든지 오래다. 하지만, 실증 연구 결과 비감염인에 비하여 감염인은 의료비용도 높고, 장기요양의 필요성도 컸으며, 사망률도 높았다. 특히, 감염인의 고령화를 앞둔 시점에 감염병 관리 뿐만 아니라, 동반 질환의 관리 중요성이 확인되었다. (2) 고령의 결핵 환자는 결핵으로 인한 고통 뿐만 아니라, 동반 만성질환의 고통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결핵 치료 결과는 남성에서 더 부정적이지만, 고령의 여성 결핵 환자들은 만성 동반질환으로 인한 고통이 남성을 상회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여성, 고령, 그리고 동반질환 관리라는 측면이 결핵 관리 정책에서 향후 고려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3) 정부의 감염병 관리 정책은 다양한 방식으로 질병관리에 영향을 미친다. 노인 대상의 예방접종 정책을 민간 위탁하여 접근성을 개선하더라도, 실제 접종률의 향상이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고, 특히 사회경제적위치에 따른 접종률의 형평성 개선에도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코로나19 시기 보편적 건강보장의 확대 정책으로 인해 더 많은 위중증 환자의 생명을 살릴 수 있었으나, 정책의 철회 이후 치명률이 악화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임상적으로 더 취약한 고령의 감염병 환자에 대한 정부 정책에서 이와 같은 근거들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4) 공중보건위기는 감염병 관리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코로나19 유행으로 인하여 연령에 따른 결핵 신고율의 격차가 확인되었고, 코로나-19 환자 관리에서 사람 중심의 관점을 실천한 경험의 부족은 의료인과 환자와 보호자 모두의 고통을 가중시킨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1) 이 연구를 통하여, 향후 감염병 정책 개발을 위한 질병 역학의 근거를 생성하였다. 구체적으로, 연령과 젠더에 따른 만성감염병 환자들의 의료이용과 비감염성 질환으로 인한 고통의 크기를 추산하였고, 이는 향후 정책 개발 시 비용 산출 등의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하다. 또한, 정부의 감염병 대응 정책 – 예방접종 정책, 건강 보장정책 등 – 의 실제 효과를 Real world data로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감염병 대응 정책 개발의 주요 근거로 활용 가능하다. (2) 미래 감염병 대응은 발생 억제와 건강수명 연장이 모두 중요하다. 코로나19와 같은 신종감염병, 기후변화의 만성질환 영향 등 미래 질병대응 주제는 다양하다. 현대의 예방의학은 질병의 발생 억제에 집중하는 1, 2차 예방을 넘어, 건강수명 연장이라는 쉽지 않은 과제를 가지고 있다. 이 연구는 이 과제들의 경계를 가로지른다. 만성질환의 특성과 전파가능성이라는 감염질환의 특성을 공유하는 사람들이 건강하게 나이들고 살아가는 전략개발이 이 연구의 위치를 설명한다. (출처 : 요약문 2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