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미세플라스틱의 피부장벽기능에 미치는 영향력 및 침투력, 피부 염증 등 피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미세플라스틱의 침투에 대한 피부보호 전략을 찾고자함 ○ 전체 내용 1. 미세플라스틱의 피부 침투 관련 실험 ● 피부의 주요 구성 세포 내로 미세플라스틱의 유입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표피 및 진피의 주요 구성 세포에서 미세플라스틱 입자의 크기/노출 시간/노출된 양 등 다양한 조건에 따른 세포 별 탐식의 양상 차이, 미세플라스틱 처리 조건별 특성, 세포 내 미세플라스틱의 형태학적 특성을 파악 ● 생체 조직 수준에서 피부장벽을 뚫고 침투할 수 있는지 아토피 피부염처럼 장벽기능이 손상된 경우 침투가 더 심할 것인가를 평가함 2. 미세플라스틱이 피부에서 미치는 영향 평가 연구 ● 단기적으로 세포 및 조직 수준에서 미세플라스틱으로 인해 나타나는 여러 생리적 변화 및 유해성 여부를 확인 ● 장기적으로 유전변형/종양/세포노화 같은 현상의 유도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세포분화/염증/산화스트레스/apoptosis 등을 평가하고 독성 carcinogen in vitro 적용 및 세포 노화 마커들을 분석 3. 미세플라스틱의 피부 유입을 줄이는 방안 탐구 ● 피부 세포 내 및 조직 내에서 시간 경과에 따른 분해기전이나 세포 제거 능력이 있는지 확인 ● 각질층 피부장벽 상태에 따라서 침투력이 다를 것으로 예상되며, 장벽기능을 강화시키는 보습제나 각질층 표면에 붙은 미세플라스틱을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는 세정 성분이나 조건이 존재하는지에 대한 연구를 수행 □ 연구개발성과 1. 피부 침투 여부 확인 ● 세포 수준에서 피부 구성 세포인 인간 각질형성세포, 섬유모세포 및 염증세포 배양 모델을 통해 미세플라스틱이 피부 내로 빠르게 유입됨을 확인 ● 조직 수준에서 각질층 피부장벽 기능으로 인해 미세플라스틱이 정상적인 피부장벽을 통과해서 그 하부 조직까지 침투되진 못하지만 아토피 피부염이나 기계적 자극으로 장벽기능이 손상된 경우 침투량이 증가되며 일부 피부내로 침투 가능 2. 피부 유해성 여부 확인 ● 미세플라스틱에 노출된 각질형성세포에서 미세 염증 및 섬유화 유도 환경이 조성될 수 있으며 진피 영역에 도달되면 섬유모세포나 대식세포에 탐식되거나 물리적 자극으로 섬유화 유도의 가능을 확인 3. 미세플라스틱의 인체 유입 차단 ● 미세플라스틱이 인체 피부 세포로 들어오면 장기간에 걸처 존재하며 보습제를 통해 장벽 기능을 보완한 경우 침투를 억제할 수 있고 적절한 세정제 사용으로 피부 표면의 잔류 미세플라스틱을 제거할 수 있음. ● 침투 위험성이 높은 피부상태라면 피부 장벽기능 강화용 보습제의 사용과 적절한 세정제의 사용으로 침투하기 전에 침투가 용이한 환경을 제거하거나 농도를 낮추어 침투 가능성을 낮추는 것이 효과적임 4. 미세플라스틱에 의한 세포 변화 방향성 분석 ● 세포의 신호계 변화를 분석 미세플라스틱 노출시 세포 자극을 통해 시간 경과에 따라 면역/염증반응에 연관된 세포 현상을 유도할 가능성이 있음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1. 피부 방어 전략의 기본 자료 확보 미세플라스틱의 피부에 미치는 유해성과 그 생리 기전을 일정 부분 파악하였으며 이를 통한 방어전략 및 보호 기전에 대한 후속 연구목표 설정이 가능함. 직접적으로는 피부장벽 관련 화장품 산업 및 환경오염에 따른 유해인자 방어 관련 산업에 도움이 될 수 있음 2. 관련 유해성 연구로의 확장 가능 미세플라스틱의 피부 연관성을 넘어 다른 신장/폐/장 등 타기관에 미치는 여러 작용에 대해 범위를 넓혀갈 수 있음. 또한 미세먼지 같은 환경오염 물질의 연구에도 응용할 수 있음. (출처 : 요약문 2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