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리튬이온전지(LIB)와 차세대 전지의 개발 동향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7-03-16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손백식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1. 분석자 서문 1991년 SONY社에서 첫 이차전지 상용화에 성공한 이래 LIB(Lithium Ion Battery)는 Li(리튬)금속의 가벼운 무게와 높은 에너지밀도의 이점에 힘입어 소형 전자기기 시장을 중심으로 급속히 발전되어왔다. 다양한 전기화학적 메커니즘이 규명되고 이에 기반한 새로운 전극물질이 개발되면서 상용화 초기에 비해 현재는 에너지밀도가 약 2배 이상 높아지는 진전을 이루었다. 최근에는 대용량화(고밀도 배터리 팩의 발전)가 진행되면서 중대형 스케일 분야인 전기자동차(EV) 및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시장까지 사용 분야가 확대되고 있어 향후에는 그 수요가 더욱 급증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희소한 Li 자원 매장량과 수분에 대한 취약한 안전성으로 인해 LIB를 대체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차세대 전지의 개발 또한 가속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차세대 전지의 개발과 더불어 보다 효율적인 전지의 안전성 관리를 목적으로 한 in-situ 모니터링 기술 역시 병행하여 연구되고 있다. In-situ 모니터링은 센서와 ICT 기술, 그중에서도 빅데이터 분야와의 접목으로 미래에는 소비자 사용 단계에서의 전수적 실시간 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2. 목차 1. LIB(Lithium Ion Battery) 개요 1.1. LIB 연구 동향 1.2. 대표 양극활물질 1.3. LIB의 한계점 2. 차세대 배터리 연구 2.1. Li 대체 원소 2.2. 금속-공기(Metal-Air) 전지 2.3. 수계형(aqueous) 전지 2.4. 산화환원(redox) 유동전지 3. In-situ 모니터링 기술 3.1. 반응 메커니즘 규명 3.2. 융합형 전지 관리 4. 결론 References 3. 원문정보 C. P. Grey, J. M. Tarascon/Sustainability and in situ monitoring in battery development /Nature Materials/20 December 2016 ※ 이 자료의 분석은 삼성SDI의 손백식님께서 수고해주셨습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KOSEN00000000000046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