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신경손상 후 Progranulin에 매개되는 신경 사멸 및 기능적 회복기전연구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7-12-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한림대학교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연구의 목적 및 내용 Progranulin(PGRN)은 분비성 성장인자인자 다양한 생물학적 과정에 다기능성 단백질로서, 2006년에 유전적 돌연변이가 전두측두엽성 치매(frontotemporal dementia; FTD)를 유발한다고 알려져 그 역할에 대해 주목받고 있다. 활성화된 소신경교세포 및 신경세포에서 PGRN 발현이 보고되어 이는 PGRN이 신경질환 발병기전에 관여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 in vivo 및 in vitro 신경 손상 후 진행되는 이차적 신경손상을 방지/감쇄하고, 손상된 신경세포 사멸기전과 축삭회복기전과 같은 적응과정에서 PGRN 혹은 granulin peptide들의 생리학적 역할 및 분자적 조절기능 규명 •비정상적인 특정 단백질의 응집과 축척으로 인해 야기되는 신경 퇴화 및 손상, 그리고 신경 변성으로 야기되는 만성 통증 및 신경퇴행성 질환의 치료 전략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과학적 자료 제시 및 치료표적인자로서의 가치 검증 연구결과 ○1차년도: 신경세포의 유도성 사멸기작에서 PGRN의 생리학적 역할 규명 •Viral vector system을 이용한 PGRN 과발현 혹은 감쇄발현된 신경세포주 확립 :Lentiviral과 adeno-associated viral vector를 이용한 유전자 조절 전달체 구축 •Rapamycin, 1% Hypoxia, nutrient 결핍에 따른 신경세포사멸시 PGRN과 Autophagy 관련인자들간 상호연관성 확인 및 분석 •말초신경 손상 모델(신경병증성 통증모델)의 구축 및 확립 : Spared Nerve Injury(SNI)와 Crush Injury(CI) 모델 ○2차년도: 말초신경손상 모델에서 PGRN 매개성 신경생성 및 기능회복기전 분석연구 •PGRN 결핍 마우스의 SNI를 통한 신경손상 유도 후 세포사멸과정에서 PGRN 효과 확인 •말초신경 손상모델에서 PGRN 결핍에 따른 행동학 실험을 통한 기능 회복기전 분석 •Crush injury 모델에서 PGRN 과발현시 Autophagic protein 발현량 측정 및 신경재생측정을 통한 PGRN의 신경보호효과 분석 연구결과의 활용계획 Progranulin의 발현조절을 이용한 신경세포모델 및 신경손상 동물모델을 이용한 본 연구는 • 목적 단백질 발현량 조절을 위한 Viral delivery system을 제작, 일차신경세포에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고, 다양한 신경 질환모델에 적용가능한 in vitro system을 구축함. • 만성 신경질환에서 수반되는 신경세포 사멸 및 기능적 회복 기작에서의 PGRN 혹은 GRN의 생리학적 역할 및 분자적 기능을 규명하여 신경손상을 포함한 다양한 신경 퇴행성 질환의 임상연구를 위한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음 • 만성 신경퇴화질병의 잠재적인 치료표적 단백질로서의 가능성을 타진할 수 있음. • 신경계에 관련된 질병의 병리학적 기작 연구를 지속적으로 촉발하게 될 것임. (출처 : 한글요약문 4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180000266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