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온실가스 이산화탄소의 폴리아민 흡수제 개발 현황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8-11-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전영호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1. 서론 이산화탄소(carbon dioxide, CO 2 )는 인간이 만들어낸 온실가스로서, 자연환경과 인류의 삶에 해를 끼치는 지구온난화를 가속시키고 있다. 이러한 CO 2 는 시멘트 공장, 철, 강철 공장, 석탄발전소 등에서 다량 발생되고 있는데, 이를 분리하기 위해 대부분 배기가스 내 CO 2 를 알칸올아민 계열 흡수제의 흡수법으로 제거하고 있다. 이러한 흡수제 중에서 모노에탄올아민(monoethanolamine, MEA)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데, 이는 가격이 저렴하고 흡수반응 속도가 빨라 흡수탑 높이를 저감시킬 수 있어서 장치비 감소가 가능하다는 점 등 때문이다.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MEA는 흡수 공정 비용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재생열이 크다는 점, 부식성이 강하다는 점, 휘발성이 있어서 장기간 운전 시 흡수제를 보충해야 한다는 점 등 극복해야 할 사항이 많다. MEA는 한 분자 내에 CO 2 와 반응하는 질소 원자가 1개 있는 구조이며, 일반적으로 분자 내 질소의 2몰이 이산화탄소 1몰을 흡수한다. 따라서 MEA는 CO 2 흡수능(loading)이 0.5 mol CO 2 /mol 아민의 제한이 있게 된다. 아민 흡수제의 가격은 공정 전체의 비용에 비교할 때 미미하지만, 효과적인 흡수제가 사용되면 재생열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어서 운전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새로운 흡수제 개발은 공정 비용을 줄이기 위한 거의 유일한 해결 방안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MEA의 대체 흡수제나 보조제로서 한 분자 내에 질소 원자가 2개 이상인 폴리아민(polyamine)은 CO 2 흡수능 0.5 mol CO 2 /mol 아민의 제한이 없이 흡수능이 높으며, 재생에너지는 더 작고, 큰 분자량 때문에 휘발로 인한 흡수제 고갈이 적다는 등의 장점이 있어서, 최근 주목받으며 연구되고 있다. 피페라진(piperazine, PZ)과 2-아미노-2-메틸-1-프로파놀(2-amino-2-methyl-1-propanol, AMP)의 혼합물을 촉진제로 사용한 결과 흡탈착 성능이 향상되었다는 연구가 있었다. 그리고 테트라에틸렌펜타민(tetraethylenepentamine, TEPA)과 MEA의 성능을 비교한 결과, TEPA가 매우 빠른 반응속도와 사이클 안정성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TEPA 1M과 MEA 5M의 혼합물이 MEA보다 더 빠른 반응속도를 보였으며, bis-(3-dimethylaminopropyl amine (TEMBRA) 1.5M과 PZ 1M의 혼합물이 MEA 0.5M 용액보다 사이클 안정성(cyclic capacity)이 약 70% 더 높았다. 본 보고서에서는, 폴리아민 흡수제와 관련하여 폴리아민 CO 2 흡수반응의 특성, 분자 내 질소 원자 개수와 CO 2 흡수 성능과의 상관관계 등을 알아볼 것이다. 2. 아민 흡수제의 CO 2 흡수반응 아민 흡수제의 CO 2 흡수반응은, 기본적으로 친핵성(nucleophilic) 카바메이트(carbamate) 생성반응이다. 여기서 아민 흡수제는 루이스염기로, CO 2 는 루이스산으로서 작용한다. 여기서, B는 염기이며, 대부분 다른 아민 흡수제 화합물이나, OH – 기 등도 염기가 될 수 있다. 물은 이러한 카바메이트 생성반응에서 양성자 전달체가 되어 촉매로서 작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CO 2 와 아민이 반응하여 카바메이트 형성 시 전체 반응은, CO 2 와 아민 사이의 C-N 결합과 아민의 수소가 다른 염기로 이동하는 2개의 반응으로 구성되며, 두 분자의 아민이 한 분자의, CO 2 를 제거하게 된다. 아민 화합물 중에서 입체장애 아민(sterically hindered amine)은 3차 탄소에 결합된 1차 아민류, 또는 2차 또는 3차 탄소에 결합된 2차 아민류로 정의되는 화합물이며, Sartori와 연구자들이 처음 그 구조적 특성과 CO 2 흡수반응에서의 작용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그림 1. 입체장애 아민의 예 즉, 입체장애 아민 질소에 결합된 부피가 큰(bulky) 알킬기 때문에 입체장애 효과가 커지며, 이에 따라 형성되는 카바메이트의 안정성도 감소가 될 것으로 예측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카바메이트의 가수분해가 촉진된다. R 1 R 2 NCOO ― + H 2 O → HCO 3 ― + R 1 R 2 NH 위와 같은 반응이 촉진되면, 카바메이트 내의 CO 2 는 중탄산 이온(bicarbonate)으로 전환되며, 생성물인 카바메이트 농도는 감소하지만 반응물인 아민의 농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이들이 다시 CO 2 흡수반응에 참여하여, 낮춰진 카바메이트 농도와 높아진 아민의 농도를 평형 농도로 맞추기 위해 흡수반응이 더 진행함으로써 반응 수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나타내며, 반응 동력학적 관점에서는, 농도 변화로 인해 정반응 속도도 빨라진다. 또한 일반적인 CO 2 흡수반응은 CO 2 흡수능, 즉 CO 2 /아민 부하 비율이 0.5로 제한되지만, 입체장애 아민을 사용한 흡수반응은 그렇지 않으며, 이와 같은 작용은 원CO 2 /아민 부하 비율이 커질수록 두드러진다. 이와 같이 입체장애 아민은 CO 2 흡수반응 속도와 반응 수율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는데, 실제 산업 분야에서는 입체장애 아민 자체의 CO 2 흡수반응성은 낮으므로 다른 1차 아민과 혼합하여 사용하며, 선행연구 결과에 따르면, 20~40% 반응 수율 증가, 100% 또는 그 이상의 반응속도 향상이 가능하다. 대표적인 입체장애 아민으로는 AMP가 있다. 3. 폴리아민 흡수제의 CO 2 흡수 및 탈거반응 3.1. 폴리아민의 CO 2 흡수반응 특성 폴리아민 분자 내의 질소 원자 개수가 2개 이상이기 때문에, CO 2 나 양성자(H + )와 여러 번 반응할 수 있으며, CO 2 와 양성자(H + ) 모두와 반응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구조의 카바메이트 화합물을 생성하며, CO 2 흡수반응, 즉 카바메이트 생성반응과 염기 아민화합물의 양성자화(protonated) 반응 흡수반응의 반응 메커니즘도 분자 내 질소 원자가 1개일 때보다 더 복잡하다. 보통, 폴리아민 내 질소의 카바메이트 형성과 양성자화는 13 C NMR 스펙트럼으로 확인한다. 디에틸렌트리아민(diethyl-enetriamine, DETA)(표 1 참조)은 2개의 1차 아민 골격구조(p)와 1개의 2차 아민 골격구조(s)를 분자 내에 포함한다. 선행연구 결과에 의하면, DETA의 1차 아민 골격구조가 CO 2 와 제일 먼저 카바메이트, 즉 DETA–CO 2 – (p)[여기서, p는 1차 아민 구조가 CO 2 와 카바메이트를 형성한다는 것을 의미한다]를 형성한다. 따라서 DETA는, CO 2 부하가 낮을 때는 DETA–CO 2 – (p)를, CO 2 부하가 높을 때는, DETA–CO 2 – (s)나 DETA–(CO 2 ) 2 2 – (pp), DETA–(CO 2 ) 2 2 – (ps)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DETA의 카바메이트 형성반응은 다음과 같이 된다. DETA + CO 2 + H 2 O -----> DETA–CO 2 – (p) + H 3 O + DETA + CO 2 + H 2 O -----> DETA–CO 2 – (s) + H 3 O + DETA–CO 2 – (p) + CO 2 + H 2 O -----> DETA–(CO 2 ) 2 2 – (pp) + H 3 O + DETA–CO 2 – (s) + CO 2 + H 2 O -----> DETA–(CO 2 ) 2 2 – (ps) + H 3 O + DETA–(CO 2 ) 2 2 – (pp) + CO 2 + H 2 O -----> DETA–(CO 2 ) 3 3 – + H 3 O + DETA&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KOSEN00000000000105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