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1. 서론 □ 연구의 필요성 ○ 2차년도 조사는 한국인의 미래에 대한 인식 변화 측정에 초점 - 1차년도 사회분위기 조사에선 응답자의 40%가 한국의 미래를 부정적으로,69%가 현재 한국사회를 부정적으로 인식 - 1차년도 선호미래사회 조사(서울 거주 20~34세 대상)에선 참여자의 다수(40%)가 사회의 붕괴-새로운 시작을 바람직한 미래로 선택 ○ 2차년도 선호미래사회 조사는 전국 5대 광역시 20~34세 대상으로 확대 - 탈(脫)성장사회로 대변되는 20~34세의 선호미래상이 전국적 현상인지 확인하고 이들은 어떤 미래사회를 원하는지 심층 면접 조사 ※ 탈성장사회: 끊임없는 소비확대로 경제성장만을 지향하는 사회를 넘어 환경보존, 정신적 성장 등 다양한 가치를 추구하는 사회(라투슈, 2014;러미스, 2002) ○ 2차년도 미래적응력 조사는 적응력 향상과 관련된 변수 추적에 역점 - 미래적응력과 미래를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태도의 상관관계 분석 - 전국 16개 시도의 미래 적응력 점수 순위 제시 □ 연구방법론: 미래지향적 네트워크 형성을 위한 삼각 접근법 ○ 사회분위기, 선호미래, 미래적응력 조사를 엮는 삼각 접근법은 미래지향적네트워크 형성에 기여 - 미래지향적 네트워크는 다양한 사회변화를 이해하고, 사회발전에 필요한 변화는 일으키며, 변화에 책임지는 자발적 연결체를 뜻함 ※ 한 사회가 지속가능하려면 미래지향적 네트워크의 활약이 필요하며,이들의 특성을 분석해 사회 전체가 공유하는 것은 중요함 ○ 삼각 접근법은 사회 구성원의 다양한 미래 인식을 수준과 내용으로 분석 - 사회 내 다양한 그룹의 생각을 최적의 분류체계로 보여줘 그룹별 어떤 미래이슈를 고민하고 해결을 원하는지 지도처럼 한 눈에 보도록 나타냄 - 이런 자료를 토대로 개인은 어느 그룹과 협업해야 더 나은 미래를 실현할 수 있을지 판단, 이를 통해 미래지향적 네트워크 형성의 단초를 제공 ○ 미래적응력 측정은 미래지향적 네트워크의 활동을 평가 - 미래지향적이란 태도를 네 가지 하위척도로 분류, 어떤 능력을 갖춰야 미래진취적 시각을 형성할 수 있는지 보여줌 □ 연구문제 ○ 한국인은 미래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 미래인식의 차이에 따라 분류한 각 그룹은 어떤 미래를 선호하는가? ○ 조사 결과 다수가 선호하는 미래사회가 실현될 경우 한국사회는 어떤 변화를 겪게 될 것인가? ○ 미래연구에 참여하는 개인들은 미래적응력이 향상되는가? 2. 사회분위기 조사 □ 연구 목적 ○ 전국 1232명이 현재와 미래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갖고 있는지 조사 - 현재와 미래에 대한 인식을 긍정과 부정으로 표현하도록 한 뒤, 인식의 차이에 따라 참여자들을 네 그룹으로 분류해 각 그룹의 중심 생각을 파악 ※ 현재를 긍정적으로, 미래를 부정적으로 인식하면 긍정-부정 그룹으로 분류 ○ 참여자들에게 걱정과 희망에 대한 생각도 물어 미래의 이슈를 구체화 - 걱정과 희망을 통해 한국사회 구성원들이 어떤 변화를 요구하는지, 이에 따라 어떤 변화를 예상할 수 있는지 판단의 근거로 활용 ○ 1차년도 사회분위기 조사와 비교, 네 그룹의 비중 변화를 추적 - 특정 그룹이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했을 때 이는 사회의 변화를 예고하는 지표로 해석할 수 있음 □ 주요 연구 질문 ○ 1차년도 조사와 비교해 네 그룹의 비중은 어떻게 변화했는가? ○ 2차년도 조사에서 드러난 네 그룹의 특징을 드러내는 중심어는 무엇인가? ○ 네 그룹에서 발견된 공통 키워드를 통해 각 그룹의 중심생각을 드러낸다면? ○ 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