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연구개발목표 및 내용 최종 목표 ❍ 최종 목표: 빅데이터(생애주기별, 질환예방위험인자별 식단구성 등)을 기반으로 개인 맞춤형 건강식단 추 천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전단계인 알고리즘 개발을 하는 것임. ❍ 연차별 목표 · 1 차년: 식품 및 영양 관련 빅데이터의 표준화 및 유용성/활용성 연구 · 2 차년: 생애주기별 개인/집단의 맞춤형 식단모형에 적합한 급원식품 정보 콘텐츠 및 균형식단 개발 · 3 차년: 생애주기별 질환별 개인 맞춤형 AI형 식단추천시스템(Food adviser)을 위한 알고리즘 개발 ❍ 세부별 목표 · 1 주관: 빅데이터 기반 건강식단 추천 콘텐츠 개발 · 2 공동: 식품영양 DB의 표준화 및 식단 DB의 활용성 연구 · 3 공동: 맞춤형 최적식단 추처 알고리즘 설계 전체내용 < 1 주관 > 빅데이터 기반 건강식단 추천 콘텐츠 개발 · 1차년: 식품 및 영양 관련 빅데이터의 표준화 및 유용성/활요성 연구 · 2차년: 생애주기별 개인 및 집단의 맞춤형 식단모형에 적합한 급원식품 정보 콘텐츠 및 균형식단 개발 · 3차년: 생애주기별 질환별 개인 맞춤형 AI형 식단추천시스템(Food adviser)을 위한 알고리즘 개발 < 1차년도 > ❍ 국제 DB 표준화 기준을 기반으로 국내 음식(967개)·식품(4,954개) DB(KRDA, KFDA, KNS, CDC 등)의 통합·가공·표준화 [SSWU-표준 음식·식품 DBs ver 1.0 구축] ❍ KNHANES (7기, >1세, n=21,273명 대상) 기반 2020-KDRIs 기준 35종 영양소별, 생애주기별·성별, 계절별, 지역별 다빈도 음식 및 식품(가중치 적용) 순위 목록화(1-20위, 21-50위) ❍ KRDA의 메뉴젠 음식-DB 단계별 update 기준 설정(국건영과 비교 1차 검토 대상 3,401개 중 227개 전문가 검토의뢰) 및 콘텐츠 활용도 제고방안 12건 제안 등 2차년 근거중심 콘텐츠 개발에 기여. ❍ 인포그래픽 개발: 생애주기별 영양소섭취기준(2015기준)에 따른 결핍, 과잉, 적정 영양소 도출. ❍ 학술대회발표 우수상; 국내 식품 및 음식 DB 현황 및 개선점 (대한영양사협회, 2020.8.19.) < 2차년도 > ❍ AI 기반 PHDR (Personalized Healthy Diets Recommendation) algorithm 개발: 빅데이터 기반 생애주기별 맞춤형 균형식단 알고리즘 모델링 및 콘텐츠 개발 · 알고리즘 타깃(성인 19-64세~노인 65세 이상)선정 및 균형식단의 식품균형을 위한 6대 식품군 섭취횟수 적용 세세분류 4종(계절)로 분류함. (메뉴젠은 대분류와 중분류만 존재) · 생애주기별 건강식단 적용 영양소 (2020 DRIs 기준) 및 영양소의 균형섭취 기준 마련; 에너지, 탄/단/지 에너지 적정비율, 생애주기별 부족 영양소(1-5위), 나트륨, 당류, 그 외 상한섭취량 서정 영양소 등 -❍ 알고리즘 활용 SSWU-음식-식품 DB update: 음식(639개)·식품(4,376개) DB update · 국립수산과학원 DB (2018년 725개 대상) 보충 및 오류 수정 (인, 당질, 지방산값) · 어린이급식센터 및 초, 중, 고등학교 실제 섭취 음식의 레시피 활용 (자문) · New 식품분류 적용: 대분류 8종, 중분류 22종, 소분류 81종(식품학적), 세분류 21종(형태 및 조리), 세세 분류 4종(계절)로 분류함. (메뉴젠은 대분류와 중분류만 존재) 2020 DRIs & 1인1회분량 기반 레시피 기준 설정 및 메뉴젠 음식 DB update (추가연구) ❍ 체중조절 건강(균형)식단추천 장치 알고리즘 모델링: 한식 식단구성프레임 기반 “체중조절 개인 맞춤형 균형식단 추천방법 및 장치” 특허 출원. [2&3 공동 협력] ❍ 인포그래픽개발: 생애주기별 2020 KDRIs에 따른 결핍, 과잉 적정 영양소 도출 인포그래픽화; “생애주기별 과잉, 부족 영양소” ❍ 학술대회발표 우수상; 성인과 노인급식의 식단계획 후 문제점비교 (한국급식외식위생학회, 2021.10.29.) < 3차년도 > ❍ 생애주기별 AI-형 개인 맞춤형 체중조절 최적 식단 추천 알고리즘 개발 · 한식기반 식단 구성 프레임 기반 식단추천 알고리즘 확립 · 체중조절 건강식단 추천 시뮬레이션 원칙 및 세부기준 재검토 ✓ 식단조합의 가능성, 식단구성 프레임 적용여부, 셋트메뉴 추천여부 등 재검토 ✓ 생애주기별(19-64세), 성별 열량 (1,500-2,600 kcal) 별 균형식단 샘플링 및 범위 확장: DRIs외 영양소섭취 범위설정: 에너지필요량 증감과 나트륨 범위(1일 상한섭취량, 점심/저녁 1끼 상한섭취량), 당류(15% E%), 포화지방산 섭취량(10% E% 미만), 성별·생애주기별 열량, 나트륨 및 식품군 횟수 범위(연령별 성별 김치 및 과일 선호도 차이) 등 적용 · 알고리즘 고도화; 대체식단 클러스터링 기준 확립 및 이를 위한 기초자료 제공 (3공동 협력) · 체중조절 건강식단 추천 알고리즘개발 (특허 등록; 2022.7.14.) ❍ SSWU-code 표준 음식 레시피 DB update 및 활용성 검토 · 한식기반 체중조절 식단추천에 적용을 위한 SSWU 1.0-DB update 및 기타 활요성 검토 · 최종 수정: 식단생성 SW (메뉴젠과 캔프로) 비교 및 실제 섭취량 등을 rlwnsdsm로 음식 레시피 수정·보완 (Ex: 밥중량 200g→210g, 멥쌀밥은 멥쌀, 생것으로, 카레 나트륨값 수정) · 절기음식 및 아침간편건강식 식단개발에 따른 DB 구축과 이의 알고리즘 활용 검토 ❍ 비만위험도별 체중조절 식단추천 알고리즘에 적용될 콘텐츠 적용연구 (2공동 협력) · 건강한 체중(BMI)과 체중조절(증감)을 위한 식단조절 범위설정 및 확대 · Alameda 7 healthy behaviors 관련 콘텐츠활용 (흡연, 음주, 수면시간, 아침결식 등) · 6대 식품군(K-score), 세부식품군(23개), 영양소(11) 및 음식 식사패턴과 비만의 관련성 · 건강한 체중(BMI)과 체중조절(증감)의 범위에 대한 조작적 정의: 선행연구 고찰 및 자문 등 · 2 공동에서 개발된 체중조절 건강식단추천 관련 콘첸트(정형 및 비정형)의 적용기준 마련 · 대체식단 클러스터링 기준 확립 및 추천된 대체식단 검토 (3 공동 협력) ❍ 기타 비만위험 요인 중 정형 및 비정형 DB 데이터의 유효성 분석 (추가연구) · 추가연구-1: 혈당지수 식품 DB 활용: 개발된 균형식단추천 알고리즘에 GI(Glycemic Index)와 GL(Glycemic Load) 적용 탐색 및 알러지(식약처) DB 개발 및 활용성 검토. · 추가연구-2: DTC 유전자 기반 개인 맞춤형 서비스 프로그램의 PNH 헬스케어 활용성 조사, 실제 참여로 현실적인 장단점 검토 및 제언 ❍ 인포그래픽 개발; 아침결식 및 간편건강식 제안 ❍ 학술대회발표 장려상; “DTC genomics를 활용한 정밀영양(Precision Nutrition) Service 현황과 개선점” (한국영양학회 국제학술대회, 2022.10.14.) ❍ 1주관 (양적 연구목표 달성): 학술지 논문 2건(국외: 1건 예정, 국내: 1건), 학술대회 10건(국외: 7, 국내: 3) / DB구축 및 활용 3건, 특허 출원 1건, 특허 등록 1건 < 2 공동 > 식품영양 DB의 표준화 및 식단 DB의 활용성 연구 · 1차년: 빅데이터기반 국내 단체급식의 현황 및 식단관리 정보 요구도 조사 표준지표 의거 표준 DB 검증 및 단체급식 활용 타당성 검토 · 2차년: 빅데이터 기반 생애주기별 집단대상별 건강식단(균형식단) 모델링, 집단대상별 맞춤 서비스를 위한 프레임 개발 식단정보 프로그램 DB의 활용성 연구 · 3차년: 비만위험도별 균형식단 추천 알고리즘 개발을 위한 콘텐츠(비정형) 인자 발굴 개인 맞춤형 균형식단의 질 평가를 위한 모델링(타당성 확보) < 1차년도 > ❍ 국내 개인 식단 대비 생애주기별 단체급식 현황 파악 · 생애주기별 단체급식소 일반 현황, 운영 현황, 식단관리 현황 파악(데스크 리서치, 선행연구, 인터뷰) · 2019 식품소비행태조사 기반 단체급식 이용 형태, 학교급식 품질인지도, 건강한 식생활을 위한 식행동, 식생활 만족도 등 조사 기반 생애주기별 단체급식소 식단관리시스템 및 단체급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