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 연구개요 ◦ 동해안 주요 석호생태계 기초생산자(식물플랑크톤, 저서미세조류, 염습지식물, 해조류 등)의 생산량과 시공간적 분포 양상 파악. ◦ 환경 특성이 다른 석호생태계에 서식하는 동물군들의 먹이원 평가 및 영양구조에 대한 유형별 비교 연구. ◦ 석호생태계 기초생산에서 최종소비자에 이르는 영양연결 고리의 상대적 중요성과 기능군별 그리고 시·공간 변동 해석. ◦ 이로부터 동해안 석호생태계 먹이망의 구조와 기능을 평가·종합하여 생태학적 특성 일반화 제시.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동해안 석호는 지형학적 특성(open, intermittently open, closed systems)에 의해 물리·화학·생물학적 특성이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남. ◦ 석호 유형별로 환경요인 및 생물요인들의 다변량 분석을 통해 지형학적 특성 차이에 의한 환경요인 변동 및 해수유입 정도에 따라 구분되었음. 석호들을 장마전-장마-장마후 시기로 구분하여 환경요인들을 기반으로 집괴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반적으로 염분요인이 계절에 따라 가장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석호유형별 뚜렷하게 해수 또는 담수의 유입에 대한 차이에 기인하였음. 석호에 따라 장마의 영향으로 인해 동일 석호내 정점들간에도 환경요인들에 의해 구분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 다른 그룹으로 그룹화 되었음. ◦ 석호 유형에 따라 해수의 유입양상이 매우 다르며, 이에 따라 소비자 동물들의 기초 먹이원으로 부유입자유기물질의 정량/정성적 특성이 다른 것으로 나타남. ◦ 소비자 동물군들의 섭식전략(suspension feeder, deposit feeder, omnivore, carnivore)에 따라 석호 유형별 isotopic niche의 범위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형학적 특성이 영양구조의 차이를 유발하는 것으로 분석됨. ◦ 석호유형별 기초생산자, 저차소비자동물, 고차소비자동물에 이르는 먹이연쇄과정의 계절 변동을 분석한 결과, 강우량의 영향과 인간활동에 의해 sand bar가 제거된 영향 또는 갯터짐으로 인한 sand bar가 부분적으로 사라진 경우 해수유입에 따라 먹이원의 상대적 중요성이 달라져 기초생산자의 기능이 시·공간적으로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남. ◦ 장마시기 이후에 갯터짐이 발생하는 석호(intermittently open lagoon)의 경우 장마 후 해수유입의 증가로 인해 식물플랑크톤 기원 유기물의 먹이망 기여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임. 반면에, 염습지 식물의 기여율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남. ◦ 동해안 석호를 해양형, 기수형 그리고 담수형으로 나누고 각각 유형에 따라 지형학적 특성 및 환경요인들의 차이에 따른 먹이망 구조 변동 양상이 구분됨. ◦ 석호 유형별로 유기물 공급원들의 정량/정성적 특성의 차이가 발생하고 먹이공급원으로서 bottom-up방식을 통해 먹이망 구조와 기능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남. ◦ 연차별 목표인 석호생태계 구조와 기능 분석, 환경변화에 의한 석호생태계 먹이망의 작동 기구 구명, 환경변화에 의한 석호생태계 구조와 기능 변동성 분석에 대하여 100% 목표를 달성하였음. □ 연구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동해안 석호는 기후변화 및 인간활동에 의한 다양한 환경요인들의 변화로 생태계 구조와 기능 전반에 급격한 변화가 발생했으나, 생물상에서부터 물질순환에 이르는 생태계 전반에 대한 연구 사례는 거의 없으며, 본 연구를 통해 석호유형별 유기물 순환과 저서동물 먹이 기여에 대한 기능적 측면에 대한 연구결과를 제시. ◦ 석호들은 현재 대부분 유기오염으로 인해 부영양화 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나 부영영화가 저차-고차생태계 전반에 종합적으로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으나, 본 연구를 통해 지속가능한 석호의 생태계 복원·관리를 위한 과학적 정보를 제공. ◦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석호생태계에 대한 국내 연안석호의 생태적 기능과 보전가치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는 학술적 연구자료 제시.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