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미세 자유유동 전기영동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8-04-13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홍지우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1.분석자 서문 미세 자유유동 전기영동(Micro free-flow electrophoresis, mu;FFE)은 평면 분리 채널에서 수직으로 가해진 전기장을 통해 흐르는 분석물을 분리하는 연속 분리 기술이다. 분석시료의 스트림이 분리 채널을 통해 흐를 때 전기영동 이동도(electrophoretic mobility)에 따라 측 방향으로 편향된다. 띠 부재 전기영동법(free zone, FZ), 미셀 전기동역학적 크로마토그래피법(micellar electrokinetic chroma-tography, MEKC), 등전집속법(isoelectric focusing; IEF), 등속영동법(isotachophoresis; ITP) 등의 다양한 mu;FFE가 보고되었다. 1994년에 최초의 mu;FFE 분리장치가 개발된 이후 약 60편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최근 장치 설계, 검출 및 가공 기술의 발전으로 mu;FFE가 훨씬 더 광범위한 응용 분야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연속적인 실시간 모니터링과 마이크로 스케일의 정화에 있어 mu;FFE 분석 방법이 유용하게 이용될 것이다. 2. 목차 1. 서론 2. 제작 및 설계 3. mu;FFE 분리 이론 4. 응용 분야 4.1. 마이크로 스케일의 정제 4.2. 연속적 모니터링 4.3. 2차원 분리 5. 결론 지난 수십 년 동안 mu;FFE의 극적인 기술 발전이 이루어졌다. 견고한 플라스틱 기판에서 저가의 mu;FFE 장치를 제작하는 데 있어 많은 관심과 다수의 제작 기술들이 개발되었다. 장치의 성능을 저해하는 전기분해로 인한 기포 생성 문제를 디자인 개선을 통해 해결함으로써 몇 시간에 걸쳐 지속적인 작동이 가능해졌다. mu;FFE 분리 이론을 개발하여 분리 매개변수의 합리적 최적화가 가능해졌다. 간단한 검출 기술이 개발되었지만 좀 더 추가적인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라벨링 처리가 필요 없는 검출 기술과 질량분석 기술 간의 결합을 통해 mu;FFE의 응용 분야를 더욱더 확장할 수 있었다. 지속적인 분리가 가능하다는 mu;FFE 기술의 고유 특성을 이용한 마이크로 스케일에서의 정제, 연속적 모니터링, 높은 피크 용량의 2차원 분리 등의 공학적 응용들이 계속해서 개발되었다. 향후 mu;FFE 기술의 기존 FFE 기술에 비해 처리속도가 낮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중채널로 이루어진 멀티플렉싱 mu;FFE 시스템의 도입이 필요하다. 또한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mu;FFE 시스템을 제작함으로서 자유롭게 시스템 디자인을 변경할 수 있으며, 제작 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게다가 이러한 3D 프린터로 제작된 mu;FFE는 빠른 유속 조건하에서도 장치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References 1. A.C. Johnson and M. T. Bowser, Lab Chip, 2018, 18, 27 ndash;40. 2. K. Hannig, Fresenius #39; Z. Anal. Chem., 1961, 181, 244 ndash;254. 3. K. Hannig, J. Chromatogr., 1978, 159, 183 ndash;191. 4. L. K?ivAnkovA and P. Bo?ek, Electrophoresis, 1998, 19, 1064 ndash;1074. 5. M. C. Roman and P. R. Brown, Anal. Chem., 1994, 66, 86A ndash;94A. 6. C. Eckerskorn, R. Wildgruber, M. Nissum and G. Weber, Tec. Lab., 2005, 27, 1020 ndash;1023. 7. D. E. Raymond, A. Manz and H. M. Widmer, Anal. Chem., 1994, 66, 2858 ndash;2865. 8. S. Jezierski, L. Gitlin, S. Nagl and D. Belder, Anal. Bioanal. Chem., 2011, 401, 2651 ndash;2656. 9. H. Ding, X. Li, X. Lv, J. Xu, X. Sun, Z. Zhang, H. Wang and Y. Deng, Analyst, 2012, 137, 4482 ndash;4489. 10. Y. Xia and G. M. Whitesides, Annu. Rev. Mater. Sci., 1998, 28, 153 ndash;184. 11. C.-X. Zhang and A. Manz, Anal. Chem., 2003, 75, 5759 ndash;5766. 12. B. Walowski, W. HUttner and H. Wackerbarth, Anal. Bioanal. Chem., 2011, 401, 2465 ndash;2471. 13. T. Akagi, R. Kubota, M. Kobayashi and T. Ichiki, Jpn. J. Appl. Phys., 2015, 54, 1 ndash;5. 14. S. KOhler, C. Benz, H. Becker, E. Beckert, V. Beushausen and D. Belder, RSC Adv., 2012, 2, 520 ndash;525. 15. D. P. de Jesus, L. Blanes and C. L. do Lago, Electrophoresis, 2006, 27, 4935 ndash;4942. 16. S. K. Anciaux, M. Geiger and M. T. Bowser, Anal. Chem., 2016, 88, 7675 ndash;7682. 17. V. Ka scaron;i?ka, Z. PrusIk, P. SAzelovA, J. JirA?ek and T. Barth, J. Chromatogr. A., 1998, 796, 211 ndash;220. 18. B. R. Fonslow and M. T. Bowser, Anal. Chem., 2006, 78, 8236 ndash;8244. 19. S. Podszun, P. Vulto, H. Heinz, S. Hakenberg, C. Hermann, T. Hankemeier and G. A. Urban, Lab Chip, 2012, 12, 451-457. 20. V. Kostal, B. R. Fonslow, E. A. Arriaga and M. T. Bowser, Anal. Chem., 2009, 81, 9267 ndash;9273. 21. D. Kim, H. K. Park, H. Choi, J. Noh, K. Kim and S. Jeong, Nanoscale, 2014, 6, 14467 ndash;14472. 22. B. R. Fonslow and M. T. Bowser, Anal. Chem., 2008, 80, 3182 ndash;3189. 23. R. T. Turgeon, B. R. Fonslow, M. Jing and M. T. Bowser, Anal. Chem., 2010, 82, 3636 ndash;3641. 24. M. Geiger, N. W. Frost and M. T. Bowser, Anal. Chem., 2014, 86, 5136 ndash;5142. ※ 이 자료의 분석은 포항공과대학교의 홍지우님께서 수고해주셨습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KOSEN00000000000092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