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1. 분석자서문 최근 세계적으로 탄소 배출을 줄이고 환경문제 해결을 위하여 신재생에너지 발전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신재생에너지의 증가는 전력 계통 운영에 기술적인 문제들을 수반한다. 발전량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전력 공급의 안정성을 떨어뜨리고, 기존의 동기발전기의 예비력이 감소하게 되어 주파수 안정도에 위협이 된다. 또한 신재생에너지는 컨버터에 의해 전력 계통에 연계되어 관성 에너지를 제공하지 못하기 때문에 다른 동기발전기들과 함께 주파수 조정에 기여하지 못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에너지 저장 장치 기술이 대두되고 있다. 에너지 저장 장치는 부하율 향상, 피크 억제 및 전력 부하 평준화, 신재생 에너지의 출력 안정 및 전력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주로 주파수 조정을 위한 목적으로 기술을 활용하고 있으며, 한국전력은 2017년까지 총 500 MW 구축을 목표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 리뷰 논문에서는 가변속형 풍력터빈과 태양광발전, 에너지 저장 장치의 관성 및 주파수 제어 기술에 대해 소개한다. 2.목차 2. 발전기의 주파수 응답 3. 신재생 에너지가 연계된 제어 기술: w/o ESS 3.1. 풍력 발전 3.2. 태양광 발전 4. 신재생에너지가 연계된 제어 기술: w/ ESS 4.1. 풍력발전 4.2. 태양광발전 5. 소프트 컴퓨팅 기반 제어 기법 6. 고찰 및 결론 References 1. Mohammad Dreidy et al., Inertia response and frequency control techniques for renewable energy sources: a review,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2017(원문) 2. Jun Dong et al., Energy-saving power generation dispatching in China: regulations, pilot projects and policy recommendations: a review,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2015. 3. Saidur Rahman et al., Environmental impact of wind energy,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2011. 4. Luis M. Castro et al., Solution of power flow with automatic load-frequency control devices including wind farms. IEEE Transactions on Power Systems, 2012. 5. K. V. Vidyanandan et al., Primary frequency regulation by deloaded wind turbines using variable droop, IEEE Transactions on Power Systems, 2013. ※ 이 자료의 분석은 연세대학교 전기전자공학과의 안경성님께서 수고해주셨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