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레이저를 이용한 금속-플라스틱 하이브리드 3D 프린팅 기술 개발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23-03-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연구책임자 황준연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연구개요 Laser Assisted Metal and Plastic(LAMP) 기술과 레이저 3D프린팅 기술을 접목하여 단일 프린팅 공정 내에서 서로 다른 물성, 기능, 용도를 갖는 금속-플라스틱 laser 접합을 통해 이종소재를 결합해 표면 구조, 성분 등이 고도로 계층화된 3D프린팅 구조체를 제조하는 혁신적인 방법인 ‘단일공정’, ‘다중기법’, ‘다중소재’의 bottom-up 생산 공정 및 관련 기술을 개발하고자 함. 이를 바탕으로 ‘μCT 이미지 기반 분석기법’을 통해 laser 접합 된 금속-플라스틱 내부 미세구조를 정량화하여 laser에 의한 계면접착 강화기구를 학술적으로 규명하고, 중간상 성형을 통해 플라스틱-금속 적층이 가능한 출력 기법을 고안하고자 함. 본 연구에서 제안한 혁신적인 laser-assisted 3D프린팅 공정 기술은 LAMP 기술이 가진 한계 극복은 물론, 새로운 원천기술인 금속-플라스틱 하이브리드 3D프린팅 기술에 대한 이론 정립과 실용화 기술을 통하여 글로벌 선점기술 개발을 목표로 함.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Laser 3D 프린팅용 금속/플라스틱 분말 기반 기능성 소재 설계를 위한 각 소재별 분말화 공정 설계를 위해 Al-Si 금속 분말과 PA6 플라스틱 분말을 통해 레이저 성형용 분말을 선택하였고, 각 소재별 Fiber 및 CO<sub>2</sub> 레이저를 통한 소결 조건 및 출력 변수를 상정해 최적의 출력 요건을 만족하는 값을 도출함. 이후 금속-플라스틱 사이 laser 접합 계면 평가와 더불어 인장, 전단 강도를 측정해 기존의 접합기술과는 다른 차별점을 두었고, 금속 표면의 요철 생성을 통한 물리적 접합 및 레이저 소결에 따른 화학적 접합을 통해 금속 소재 표면 상 계면 접합 모델을 분석하였음. 연속 출력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해 금속 상 플라스틱 접합 시 공정변수의 최적화를 통하여 금속-플라스틱 접합력을 극대화하는 등의 물성강화가 이루어졌으며, 플라스틱 PET 상 금속 Ti 접합을 위해 금속과 플라스틱이 혼합된 혼합물인 중간상 물질(PVA가 포함된 Ti분말)을 제조해 플라스틱과 금속 사이 배치하여 플라스틱-금속 접합 공정이 가능하도록 공정 설계하였으며, 최종적으로 laser를 이용한 금속-플라스틱 또는 플라스틱-금속 접합 프린팅 기술을 개발하는 등 Laser assisted metal-plastic 하이브리드 접합프린팅 공정을 더해 복합적 소재 적층의 연속적 출력이 가능한 출력 기법을 고안하였음.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본 연구는 금속 및 플라스틱 상 이종 소재 적층을 통해 미래의 차체 부품 개발과 같이 복합 소재용 경량화를 위한 금속-플라스틱 접합기술에 적용가능하며, 이에 따른 3D 프린팅 관련 주요 선진 기술국가와의 기술적 경쟁력을 향상시켜 국가 제조업의 공정 혁신에 이바지 할 수 있음. 특히, 기존의 접착제 및 볼팅, 마찰교반 결합방식에서 벗어나 복합체를 단일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환경에 제한적이지 않게 하였고, 복잡한 성형을 위한 레이저 3D 프린팅 공정을 접목하기에 기존의 접합기술이 가지는 기술적 한계를 해결할 수 있음. 또한 단순 후처리공정에 쓰였던 LAMP 공정을 이용한 접합 기술에서 하이브리드 3D 프린팅 기술에 본 접합 공정을 활용하면서 생산과 접착을 one-step process로 수행하기에 본 연구에서 제시한 차체 부속품뿐만 아니라 다양한 산업에서도 기술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230001009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