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정부의 기업지원 R D 투자의 고용창출 효과 실증분석 연구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12/01/2015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연구책임자 최대승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3. 주요 연구결과 가. [분석 1] 정부 R D지원과 고용 ○「연구개발활동조사」 원자료를 기초로 2008년~2013년 6년간 표준산업 분류 3digit 202개 산업에 대한 패널 데이터 셋을 구축하고 실증 분석을 수행 ○Pooled OLS와 2SLS 확률효과 모형, 2SLS 고정효과 모형을 사용하여 정부의 지원(lnG)과 고용(lnE) 사이의 관계를 분석 - 정부 지원이 고용과 양(+)의 상관관계를 유의하게 나타냄. 모든 모형에서 이러한 관계가 안정적으로 나타남. - 연립방정식 모형을 추정한 3SLS 모형 분석의 결과도 정부 지원이 최종적으로 고용과의 양(+)의 상관관계를 지지함. 나. [분석 2] 정부의 R D 보조금과 R D 총 투자 ○고정효과(FE) 모형의 분석 결과, 3SLS 결과보다 다소 작은 계수값이 추정 되었으나 전반적으로 유사한 결과를 보임 - 정부의 R D 지원이 해당 산업의 총 R D 투자와 양(+)의 유의한 상관관계 도출 - 모든 모형에서 0.1전후의 안정적인 탄력성이 도출됨. 시차를 둔 효과에서는 유의하지 않으나 양(+)의 부호가 유지됨 다. [분석 3] R D 투자와 고용 ○각 산업의 R D 투자가 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2SLS 고정효과(FE) 모형과 시스템 GMM* 방법을 통해 실증분석 실시 * 종속변수의 과거항이 포함되는 회귀식의 분석은 시스템 GMM으로 분석 ○제품개발 R D와 고용과의 관계가 0.33∼0.44로 모두 양(+)의 유의한 탄력성 도출 - 공정 R D의 경우는 모두 유의하지는 않으나, 음(-)의 부호 ○경상적 R D 투자는 고용에 대해 0.41∼0.46로 양(+)의 유의한 탄력성 도출 - 자본적 R D의 경우는 고용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하고 추정치의 크기도 전반적으로 작게 나타남. 단 모든 분석에서 양(+)의 계수값을 보임. 라. 의의 및 정책적 시사점 ○정부의 R D 지원이 고용을 창출하는데 기여한다는 가설 지지 - OLS, 확률효과 모형, 고정효과 모형, 3SLS, GMM 등 다양한 계량분석 방법을 활용,전체 및 단계별 효과를 분석. 일관되고 안정적인 분석 결과를 도출. ○ 고용 창출 또는 소멸의 상당부분이 패널 외부로의 기업 이탈 및 유입으로 설명될 수도 있기 때문에 산업수준의 연구가 필요한 시점에서 적절할 분석 결과를 제공 ○정부의 R D 지원이 신제품 개발과 혁신에 집중될수록, 경상적 지출의 R D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고용의 창출에 긍정적인 효과 - 단, R D 정책을 고용창출의 핵심 정책이 될 수는 없을 것이나, 적절한 혼합정책(mixed policy)을 통해 고용창출에 긍정적인 기여는 가능할 것임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160000176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