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국내 젖소 에너지 공급 기준 설정 연구 ○ 전체 내용 ○ 한국젖소사양표준 개정자료 도출을 위한 데이터 축적 및 메타분석 연구 - 사양표준의 각 소위별 문헌 조사 및 기초자료 확보 - 국내·외 사양표준의 개정 동향 분석 및 자료 수집 - 사료배합비 프로그램 제작을 위한 사전 정보 수집 ○ 착유우의 환경온도별 에너지 공급 수준에 따른 유생산성 비교 - 홀스타인 착유우 환경온도별 에너지 공급 수준에 따른 유생산성 구명 동물 실험 및 DB 구축 - 비유초기 홀스타인 착유우 에너지 공급원에 따른 유생산성 구명 - 한국젖소사양표준(2017) 착유우 건물섭취량 예측 모델 평가 ○ 젖소 생리단계별 에너지 요구량 추정 모델 개발 및 적정 공급 기준 설정 - 국외 ME, NE 요구량 추정 모델 시스템 조사 - 젖소 연구 결과 데이터베이스 구축 - 생리현상(비유, 유지, 임신, 성장) 별 에너지 요구량 모델 구축 - 생리현상 별 NE/ME 전환 효율 모델 구축 - 국내 환경에서의 젖소 생리단계별 적정 에너지 공급 기준 설정 □ 연구개발성과 1주관: 경상국립대학교 < 1년차 > ○ 한국가축사양표준 젖소분과의 소위별 문헌 조사 및 기초자료 확보 - 4차 개정위원회 구성 및 위촉, 역할 분담 - 소위원회별 국내·외 기초자료 확보 - 젖소사양표준 관련 국내·외 최근 문헌 조사 - 학·연·산 전문위원 초빙 협의회 및 세미나 개최를 통한 자료 수집 ○ 국내·외 사양표준의 개정 동향 분석 및 자료 수집 - 미국 NRC / CNCPS, 일본사양표준 등 사양표준 보유국의 개정 동향 분석 ○ 한국젖소사양표준 개정자료 도출을 위한 메타분석 연구 - 국내·외 젖소사양표준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및 메타분석용 자료 수집 - 국내 첨단 낙농가/업체로부터 메타분석용 기초자료 확보 < 2년차 > ○ 국내·외 젖소사양 변수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및 자료 수집 - 국외 저널에 발표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젖소사양표준 소위별 개선방향을 제시 - 축산업 내 ICT 현황 조사 및 국내 영남 지역 Robot 착유 농가 자료 수집 ○ 사료배합비 프로그램 제작을 위한 사전 정보 수집 - 현재 젖소 배합비 프로그램의 분석을 통해 환경, 구조, 소스 등 개선(안) 설계 < 3년차 > ○ 종합적인 젖소사양표준 조사 및 기초자료 분석 - 한국젖소사양표준 개정자료 도출을 위한 메타분석 연구 - 1·2차년도 수집된 내용을 바탕으로 젖소사양표준 기초자료 분석 및 추가 조사 ○ 국내·외 사양표준의 개정 동향 및 사양변수에 대한 발전방안 제시 - 젖소사양표준 각 소위별 국내·외 사양표준의 개정 동향 및 사양변수에 대한 발전방안 제시 ○ 사료배합비 프로그램 제작 - 2차년도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사료배합비 프로그램 내용 반영 - 전문적이며 현장 활용성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한 프로그램 제작 - 배합비에 어려움을 겪는 농가에게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제작 2공동: 국립축산과학원 < 1년차 > ○ 고온기 홀스타인 젖소 착유우 에너지 공급 수준에 따른 TMR 섭취 및 산유 D/B 구축 < 2년차 > ○ 적온기 홀스타인 젖소 착유우 에너지 공급 수준에 따른 TMR 섭취 및 산유 D/B 구축 ○ 저온기 홀스타인 젖소 착유우 에너지 공급 수준에 따른 TMR 섭취 및 산유 D/B 구축 < 3년차 > ○ 홀스타인 착유우 에너지 공급원에 따른 사료 건물섭취량 및 유생산성 비교 ○ 한국젖소사양표준(2017)의 홀스타인 착유우 사료 건물섭취량 예측 모델 검증 연구 3공동: 충남대학교 < 2년차 > ○ 국외 ME, NE 요구량 추정 모델 시스템 조사 - 총 7종의 해외 축우 영양 모델 시스템(미국 NRC 젖소, 미국 CNCPS, 프랑스 INRA, 스칸디나비아 NorFor, 영국 FiM, 호주 CSIRO, 일본 젖소사양표준)의 생리단계 별 에너지 요구량 추정 모델 시스템 조사 ○ 젖소 연구 결과 데이터베이스 구축 - 미국 낙농학회지에 5개년 간 출판된 논문을 이용하여 젖소 연구 결과 DB 구축 - 288개 논문으로부터 1,185개 관측치(동물, 생산, 사료, 섭취, 대사, 환경 정보 포함) 확보 ○ 비유정미에너지 요구량 예측 모델의 검증 - 젖소 연구 결과 DB를 이용하여 국외 11종의 비유정미에너지 요구량 예측 모델 검증 실시 - 국내 환경에 가장 적합한 모델 선별(우유에너지, Mcal/kg = 0.0929×유지방+0.0547×유단백+0.192) < 3년차 > ○ 정미에너지 요구량 예측식 구축 및 NE/ME 전환 효율의 적용성 평가 ○ 국내 환경에서의 젖소 생리단계별 적정 에너지 공급 기준 설정 - 젖소의 생리단계를 육성, 건유, 착유(<20kg/d, 20-30kg/d, 30-40kg/d, >40kg/d)로 구분하고 일반적인 TMR 원료 사료를 이용하여 배합비 구성 - 구성한 배합비를 젖소사양표준에 따라 시뮬레이션 분석을 하여 기본 배합비 도출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연구개발 성과의 활용방안 - 젖소사양의 기술발달 이용성과 국내·외 젖소사양에 관한 자료를 비교 및 수집함으로서 국내환경에 어울리는 사양 환경 및 체계를 수정 및 보완 - 한국젖소사양표준이 현장 적용이 가능하고, 젖소사양의 전문가 또는 농민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쉽고, 구체화되어 사양표준 활용성을 증진 - 젖소사양표준 3차 개정 내용의 정확도 검증 - 젖소사양표준 4차 개정을 위한 기초, 기반 자료 확보 및 활용 - 에너지 partitioning을 기반으로 한 ME 및 NE 요구량 추정 모델을 개발함으로써 젖소의 정밀 사양 기반 마련 - 국내 환경에 적용 가능한 에너지 공급 기준 설정으로, 젖소사양표준의 현장 적용성 극대화 ○ 연구개발성과의 기대효과 - 국내 실정에 알맞은 젖소 착유우의 사료 건물섭취량 기초자료 확보 - 개체별 착유우의 사양관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사양표준의 개발로 낙농업계 발전 - 국내·외 젖소사양표준을 비교함으로서 기존 사양표준의 미비한 부분을 보완 가능 - 제4차 한국젖소사양표준 발간의 밑거름이 되어 국내 환경에 보다 적합한 개정판 발간 가능 - 젖소사양표준의 국내 적용 및 정확도 극대화 - 5년마다 개정되고 있는 한국젖소사양표준의 국내 환경 활용성 증진 - 기존 미국의 NRC 혹은 CNCPS의 수식을 그대로 이용하던 것을 국내 환경에 적합한 수식으로 대체 가능 - 에너지 partitioning을 기반으로 한 모델 개발로, 사료에 따른 에너지 이용률을 고려한 ME 및 NE 요구량 추정 모델 개발 - 젖소사양 중 사료원료, 기후 등과 같은 다양한 변수를 고려한 자료를 수집하여 변화하고 있는 국내 환경에 맞는 낙농업 분야 경쟁력 업그레이드 - 국내 착유우에 활용 가능한 영양소 요구량 예측모델제시로 과잉 사료급여 최소화 - 원유의 생산비 중 절반가량을 차지하고 있는 사료비 부분에 대하여 낙농업이 겪고 있는 어려움에 대한 고려 및 개선방안 도출 - 한국젖소사양표준의 정확한 보완으로 국외사양표준보다 상대적 우위 확보 - 국내 사양 환경에 적합한 에너지 요구량 추정 모델 개발을 통해, 정밀사양의 현장 적용성 제고 - 국내 사양 환경을 고려한 적정 에너지 공급 기준을 설정함에 따라 낙농가의 효율적인 경영 기대 - 정밀사양을 통한 낙농가의 사료비 절감으로 인한 순수익 증대 및 국내 낙농가의 축산 경쟁력 제고 효과 기대 (출처 : 요약문 2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