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국내 젖소 에너지 공급 기준 설정 연구 (사양표준 4차개정)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21-12-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경상국립대학교
연구책임자 이성실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국내 젖소 에너지 공급 기준 설정 연구 ○ 전체 내용 ○ 한국젖소사양표준 개정자료 도출을 위한 데이터 축적 및 메타분석 연구 - 사양표준의 각 소위별 문헌 조사 및 기초자료 확보 - 국내·외 사양표준의 개정 동향 분석 및 자료 수집 - 사료배합비 프로그램 제작을 위한 사전 정보 수집 ○ 착유우의 환경온도별 에너지 공급 수준에 따른 유생산성 비교 - 홀스타인 착유우 환경온도별 에너지 공급 수준에 따른 유생산성 구명 동물 실험 및 DB 구축 - 비유초기 홀스타인 착유우 에너지 공급원에 따른 유생산성 구명 - 한국젖소사양표준(2017) 착유우 건물섭취량 예측 모델 평가 ○ 젖소 생리단계별 에너지 요구량 추정 모델 개발 및 적정 공급 기준 설정 - 국외 ME, NE 요구량 추정 모델 시스템 조사 - 젖소 연구 결과 데이터베이스 구축 - 생리현상(비유, 유지, 임신, 성장) 별 에너지 요구량 모델 구축 - 생리현상 별 NE/ME 전환 효율 모델 구축 - 국내 환경에서의 젖소 생리단계별 적정 에너지 공급 기준 설정 □ 연구개발성과 1주관: 경상국립대학교 < 1년차 > ○ 한국가축사양표준 젖소분과의 소위별 문헌 조사 및 기초자료 확보 - 4차 개정위원회 구성 및 위촉, 역할 분담 - 소위원회별 국내·외 기초자료 확보 - 젖소사양표준 관련 국내·외 최근 문헌 조사 - 학·연·산 전문위원 초빙 협의회 및 세미나 개최를 통한 자료 수집 ○ 국내·외 사양표준의 개정 동향 분석 및 자료 수집 - 미국 NRC / CNCPS, 일본사양표준 등 사양표준 보유국의 개정 동향 분석 ○ 한국젖소사양표준 개정자료 도출을 위한 메타분석 연구 - 국내·외 젖소사양표준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및 메타분석용 자료 수집 - 국내 첨단 낙농가/업체로부터 메타분석용 기초자료 확보 < 2년차 > ○ 국내·외 젖소사양 변수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및 자료 수집 - 국외 저널에 발표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젖소사양표준 소위별 개선방향을 제시 - 축산업 내 ICT 현황 조사 및 국내 영남 지역 Robot 착유 농가 자료 수집 ○ 사료배합비 프로그램 제작을 위한 사전 정보 수집 - 현재 젖소 배합비 프로그램의 분석을 통해 환경, 구조, 소스 등 개선(안) 설계 < 3년차 > ○ 종합적인 젖소사양표준 조사 및 기초자료 분석 - 한국젖소사양표준 개정자료 도출을 위한 메타분석 연구 - 1·2차년도 수집된 내용을 바탕으로 젖소사양표준 기초자료 분석 및 추가 조사 ○ 국내·외 사양표준의 개정 동향 및 사양변수에 대한 발전방안 제시 - 젖소사양표준 각 소위별 국내·외 사양표준의 개정 동향 및 사양변수에 대한 발전방안 제시 ○ 사료배합비 프로그램 제작 - 2차년도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사료배합비 프로그램 내용 반영 - 전문적이며 현장 활용성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한 프로그램 제작 - 배합비에 어려움을 겪는 농가에게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제작 2공동: 국립축산과학원 < 1년차 > ○ 고온기 홀스타인 젖소 착유우 에너지 공급 수준에 따른 TMR 섭취 및 산유 D/B 구축 < 2년차 > ○ 적온기 홀스타인 젖소 착유우 에너지 공급 수준에 따른 TMR 섭취 및 산유 D/B 구축 ○ 저온기 홀스타인 젖소 착유우 에너지 공급 수준에 따른 TMR 섭취 및 산유 D/B 구축 < 3년차 > ○ 홀스타인 착유우 에너지 공급원에 따른 사료 건물섭취량 및 유생산성 비교 ○ 한국젖소사양표준(2017)의 홀스타인 착유우 사료 건물섭취량 예측 모델 검증 연구 3공동: 충남대학교 < 2년차 > ○ 국외 ME, NE 요구량 추정 모델 시스템 조사 - 총 7종의 해외 축우 영양 모델 시스템(미국 NRC 젖소, 미국 CNCPS, 프랑스 INRA, 스칸디나비아 NorFor, 영국 FiM, 호주 CSIRO, 일본 젖소사양표준)의 생리단계 별 에너지 요구량 추정 모델 시스템 조사 ○ 젖소 연구 결과 데이터베이스 구축 - 미국 낙농학회지에 5개년 간 출판된 논문을 이용하여 젖소 연구 결과 DB 구축 - 288개 논문으로부터 1,185개 관측치(동물, 생산, 사료, 섭취, 대사, 환경 정보 포함) 확보 ○ 비유정미에너지 요구량 예측 모델의 검증 - 젖소 연구 결과 DB를 이용하여 국외 11종의 비유정미에너지 요구량 예측 모델 검증 실시 - 국내 환경에 가장 적합한 모델 선별(우유에너지, Mcal/kg = 0.0929×유지방+0.0547×유단백+0.192) < 3년차 > ○ 정미에너지 요구량 예측식 구축 및 NE/ME 전환 효율의 적용성 평가 ○ 국내 환경에서의 젖소 생리단계별 적정 에너지 공급 기준 설정 - 젖소의 생리단계를 육성, 건유, 착유(<20kg/d, 20-30kg/d, 30-40kg/d, >40kg/d)로 구분하고 일반적인 TMR 원료 사료를 이용하여 배합비 구성 - 구성한 배합비를 젖소사양표준에 따라 시뮬레이션 분석을 하여 기본 배합비 도출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연구개발 성과의 활용방안 - 젖소사양의 기술발달 이용성과 국내·외 젖소사양에 관한 자료를 비교 및 수집함으로서 국내환경에 어울리는 사양 환경 및 체계를 수정 및 보완 - 한국젖소사양표준이 현장 적용이 가능하고, 젖소사양의 전문가 또는 농민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쉽고, 구체화되어 사양표준 활용성을 증진 - 젖소사양표준 3차 개정 내용의 정확도 검증 - 젖소사양표준 4차 개정을 위한 기초, 기반 자료 확보 및 활용 - 에너지 partitioning을 기반으로 한 ME 및 NE 요구량 추정 모델을 개발함으로써 젖소의 정밀 사양 기반 마련 - 국내 환경에 적용 가능한 에너지 공급 기준 설정으로, 젖소사양표준의 현장 적용성 극대화 ○ 연구개발성과의 기대효과 - 국내 실정에 알맞은 젖소 착유우의 사료 건물섭취량 기초자료 확보 - 개체별 착유우의 사양관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사양표준의 개발로 낙농업계 발전 - 국내·외 젖소사양표준을 비교함으로서 기존 사양표준의 미비한 부분을 보완 가능 - 제4차 한국젖소사양표준 발간의 밑거름이 되어 국내 환경에 보다 적합한 개정판 발간 가능 - 젖소사양표준의 국내 적용 및 정확도 극대화 - 5년마다 개정되고 있는 한국젖소사양표준의 국내 환경 활용성 증진 - 기존 미국의 NRC 혹은 CNCPS의 수식을 그대로 이용하던 것을 국내 환경에 적합한 수식으로 대체 가능 - 에너지 partitioning을 기반으로 한 모델 개발로, 사료에 따른 에너지 이용률을 고려한 ME 및 NE 요구량 추정 모델 개발 - 젖소사양 중 사료원료, 기후 등과 같은 다양한 변수를 고려한 자료를 수집하여 변화하고 있는 국내 환경에 맞는 낙농업 분야 경쟁력 업그레이드 - 국내 착유우에 활용 가능한 영양소 요구량 예측모델제시로 과잉 사료급여 최소화 - 원유의 생산비 중 절반가량을 차지하고 있는 사료비 부분에 대하여 낙농업이 겪고 있는 어려움에 대한 고려 및 개선방안 도출 - 한국젖소사양표준의 정확한 보완으로 국외사양표준보다 상대적 우위 확보 - 국내 사양 환경에 적합한 에너지 요구량 추정 모델 개발을 통해, 정밀사양의 현장 적용성 제고 - 국내 사양 환경을 고려한 적정 에너지 공급 기준을 설정함에 따라 낙농가의 효율적인 경영 기대 - 정밀사양을 통한 낙농가의 사료비 절감으로 인한 순수익 증대 및 국내 낙농가의 축산 경쟁력 제고 효과 기대 (출처 : 요약문 2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220000924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