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개발 목적 및 필요성 □ 단일 생물종 연구접근 수준을 넘어서서, 환경생태계 및 생물다양성 변화ㆍ감시에 특화된 ICT기반 환경생태계 모니터링 핵심기술개발이 시급함. □ 환경생태계 변화에 대한 모니터링에 의해 생산되는 빅데이터는 누구나 환경정보의 신속한 활용을 통한 효율적인 공동대응을 도모할 수 있도록 통합관리 네트워크시스템이 시급히 조성되어야 함. □ 미국이나 영국과 같은 선진국에서는 국가차원에서 생태관측 수집데이터를 보존하고 공유하려는 노력을 일찍이 기울여 왔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국가적 차원의 생태계정보 통합관리 네트워크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며, 세계 흐름에 동참하기 위해서는 생태관측자료 수집과 공유를 위한 국가 차원의 생태계정보 인프라 구축이 시급한 실정임. □ 생태데이터의 수집 방법 및 수집 데이터의 표준화, 획득 데이터의 가공 및 활용 등에 관한 체계적인 매뉴얼이 구축되어 있지 않은 현 상황에서 단편적이고 불연속적으로 분산ㆍ관리 되고 있는 수준의 환경변화 데이터로는 국가단위의 환경생태계 보전 및 감시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기에는 역부족으로 판단됨. □ 우리나라의 강점인 IT기술과 생태 기술인 ET를 융합하여 생태계 데이터의 수집, 가공, 저장, 분석 및 공유를 위한 생태계 정보 통합관리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은 미래 녹색성장 산업으로서 새로운 부가 서비스 창출이 가능한 창조경제 기술에 국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함. 연구개발 결과 □ 생태환경별 관측대 설치지점 및 지표생물종 선정 관련 연구를 통해 총 6곳 의 생태관측대 설치지점(육상생태계 4곳, 수생태계 2곳) 및 10종의 지표생물종(육상생물 5분류군, 수생물 5분류군)을 개발된 선정기준에 맞추어 선정하였으며, 각 선정된 지표생물종은 개발된 프로토콜에 따라 테스트베드(육상생태계 1곳, 수생태계 1곳)에서 데이터를 수집함. □ 국외 사례 및 국내의 생태·환경을 고려해 육상생태계 및 수생태계의 지표생물종 특성에 따라 수집데이터의 항목을 설정하고 수집방법을 표준화 함. □ UAV를 이용한 모니터링 기법 연구 및 현장적용을 통해 새로운 기법을 통한 모니터링 연구의 가능성에 대해 탐색함. □ 기존 데이터로부터의 메타데이터 추출기법 개발(데이터마이닝 알고리듬 개발)을 통해 국내·외 원시데이터나 상이한 포맷의 수집데이터를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연구함. □ 국제협력 네트워크 모델 구축을 통하여 데이터의 공유 및 활용방안에 대하여 논의함(미국 NEON을 포함한 5개국의 유관기관과 데이터 공유 및 플랫폼 활용방안 등에 대한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협업을 진행 중임). □ 국외 생태관측시스템 관련 동향 및 정책 분석, 프로토콜의 테스트베드 현장 적용의 문제점 및 국제적 기준 검토, 사용자 친화적 시스템 계획 수립 등의 발전적인 연구결과를 도출함. □ 이를 통해 효과적인 생태계정보 통합관리 네트워크 시스템의 중장기 로드맵(운영지침서 제작)을 제시함. 성능사양 및 기술개발 수준 □ IT 기반의 생태/환경 분야간의 협력을 통해 한반도 및 아시아 지역의 생태계변화 관측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지구 생태계 변화 분석 및 예측 모델에 활용이 가능함. □ 전주기 생태정보 관리 기술을 기반으로 환경, 기후, 지리 등의 다양한 부가정보와 결합한 융합연구환경을 제공할 수 있음. □ 생태분야 메타데이터 표준화 및 메타데이터 카탈로그 시스템 구축을 통해 축적된 경험과 기술을 지구관측분야, 해양분야, 수자원분야 등 다양한 분야 메타 데이터 표준화 및 메타데이터 시스템 구축에 적용가능함. □ 여러 종의 생태계 모니터링을 통한 점진적 생태계 예측 모델링 분야에 기여할 수 있음. □ 대용량의 표준 생태정보를 저장·관리·검색·공유 할 수 있는 수준의 메타데이터 전환가공 기술을 확보함. □ 국제적 수준의 장기생태연구 데이터 관리기술을 확보함. □ 데이터마이닝을 통해 기존의 파편화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수준의 기술을 확보함. □ 축적된 생태관측 정보를 통해 신규 과학자 및 교육자 육성에 활용이 가능함. □ 실시간 생태환경 관측 시스템 및 전송규격과 글로벌 생태환경 네트워크 연동 기술 확보로 생태계 모니터링 분야의 국제 표준화 선점이 가능한 수준임. □ 환경변화 모니터링시스템(웹기반, 실시간), 국제협력네트워크 모델, 수집된 데이터의 저장, 가공 및 공유 플랫폼(웹기반, 실시간), 기후변화 민감성 생물군 모니터링 프로토콜 등의 구축을 통해 국제적으로 활용이 가능한 수준임. 활용계획 □ 생태분야 글로벌 사이언스게이트웨이(K-EcoHub) 플랫폼 개발을 통해 국내·외 생태관측 데이터의 공동 활용 네트워크 구축 및 활용이 가능함. □ 축적된 생태정보를 통해 환경의 상관적 관계를 연구하여 생태계를 위협하는 다양한 환경 위험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음. □ 멸종위기 생물종 보호에 활용함은 물론 생태 복원 및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들과 연계 활용이 가능함. □ 생태계 조사 시 현장에서 투입되는 시간과 인력을 최소화함으로써 연구행위로 인한 생태계 훼손 축소가 가능함. □ 기후변화에 따른 다양한 생태적 변화를 체계적이고 즉각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환경피해 최소화하는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됨. (출처 : 요약서 5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