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본 과제는 반복스트레스 자극에 의한 신경내분비축(HPA-axis) 조절기능 교란현상으로 유발된 기억기능손상 동물모델에서 신경세포신생(neurogenesis)과 신경연접가소성(synaptic plasticity) 활성화를 유도하여 이를 회복시킬 수 있는 한방약침 치료요법을 발굴, 검증하고 그 치료기전을 규명하고자 하였음. 이를 위해 스트레스 완화효과에 더불어 해마조직에서의 신경세포발생과 신경연접가소성 활성화를 이중 타겟하는 침자극점을 발굴하고 in vitro 신경돌기성장과 뇌신경세포 가소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한약물을 탐색하여 약침요법으로 융합함으로써 기억손상 예방차원을 넘어 기 손상된 기억을 회복시킬 수 있는 신규 한방침 치료기전을 제시하고자 하였음. 이에 1차년도에는 반복 스트레스자극에 의한 신경내분비축 조절기능 교란으로 유발된 뇌신경세포신생 (neurogenesis) 기능 저하 및 기억기능 손상 동물모델 확립하여 BrdU staining 분석을 이용한 뇌신경세포신생 수준분석 및 단기기억능력과의 상관관계 정립, 반복스트레스 자극강도와 뇌신경세포신생 수준에 따른 기억능력 변화 시, 뇌신경세포신생 수준 정밀분석을 위해 신생 뇌신경세포의 생성 (proliferation), 생존 (survival), 분화 (differentiation)의 각 단계에서 주요 분자마커(KI-67, DCX, NeuN) 정량분석 및 상호 상관관계 정립 및 반복스트레스 유도 뇌신경세포신생 수준저하에 따른 기억기능 손상 시, 해마신경세포 신경작용인자인 BDNF 와 그 수용체 TrkB 발현 수준분석 및 상관관계 정립하였음. 또한 2차년도에는 1차년도에 취득한 결과를 바탕으로 반복스트레스 유도 뇌신경세포신생 수준저하에 따른 기억기능 손상 시, 신경연접가소성(synaptic plasticity)과 수상돌기 재조직화(dendritic remodeling) 수준 변화 분석 및 Synaptic plasticity과 dendritic remodeling 수준 변화에 따른 해마신경세포에서 신경조절인자인 CREB 발현 분석 및 상관관계 검토하였음. 또한 3차년도에는 동물 모델에서 스트레스성 기억기능 장애 및 신경성 정신질환에 효능이 탁월한 유효 경혈점 개별 탐색 및 시너지 효능 검증 및 행동학적 지표 분석을 통해 검증된 침자극점 자극을 통한 신경세포신생과 synaptic plasticity 활성화 수준 분석하였음. 이는 복잡한 현대사회에서 만성적인 스트레스에 의한 기억기능 장애에 대한 과학적, 의학적인 대처 방안 및 새로운 치료 패러다임 및 방향 제시 가능하며, 만성스트레스로 인한 다양한 복합형 정신질환에서 치료효능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한방약침요법의 제시와 작용기전 연구는 융합형 한방요법에 대한 과학적, 객관적 근거를 마련해 줄 수 있으며 나아가 난치성 뇌질환의 인지기억 손상에 대한 새로운 치료전략을 제안하고, 뇌신경과학/한의학 융합분야의 고유기술 축적 및 동 분야 연구인력 양성을 통해 세계수준의 첨단 의과학시장을 개척하는 기반을 마련하고, 더불어 국가 연구 경쟁력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음. 본 연구 과제를 통해 지난 3년간(2013.11.01.~2016.10.31) 기억장애,우울증 질환을 대상으로 치료 및 기전 연구를 통해 SCI(E)저넘 14편(주저자 14편. 과제사사 표기)의 논문음 발표하고 10여 회의 국제 학숨대회의 발표. 3편의 국내특허 香워음 통한 활발한 학술활동을 하는 등, 본 과제를 수행하는데 있어 질환동물모델 개발 및 행동학적 분석과 분자기전연구를 위한 조직학, 생화학, 분자생물학에 걸쳐 다양한 실험 인프라를 확보하였음. 특히, 노화에 의한 공간적 인지기능 장애 손상 동물모델에서 오징어 유래 포스파티딜세린 (PS) 의 기억증진 효능과 그 기전을 규명한 연구 성과는 이 분야의 저명한 저널인 Prog Neuropsychopharmacol Biol Psychiatry(IF=4.1)에 기재된 바 있음(2015.01). 이는 본 연구과제 수행을 통한 14여 건의 SCI(E)급 논문을 출간하는 질적 성장을 이루었으며, 침구경락분야 SCI급 저널의 Impact factor(IF)가 평균 1.05인데 반해, 본 과제수행을 통해 발표된 논문의 평균 IF가 2.28 일 정도로 양적 성장을 이루었음.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3P) |